야당 통합 행보하는데…여당, 곳곳서 분열 확산 조짐
반탄파 “90명 뭉치자” 분위기 … 찬탄파와 충돌 예고
‘명태균 특검법’ 재표결하면 대선주자별 이해 엇갈려
제1야당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연일 통합 행보가 이어지고 있지만, 집권여당 국민의힘에서는 곳곳에서 분열 조짐이 커지는 모습이다. 주류인 친윤(윤석열)이 “탄핵 기각”을 고수하면서 탄핵이 인용될 경우 반탄파(탄핵 반대)와 찬탄파(탄핵 찬성) 사이의 갈등이 재점화될 전망이다. ‘명태균 특검법’도 여당의 분열을 키울 수 있는 변수로 꼽힌다.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28일 비명계 대선주자로 꼽히는 김동연 경기도지사를 만난다. 이 대표는 앞서 김경수 전 경남지사와 김부겸 전 총리, 박용진 전 의원,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 등과 잇달아 회동했다. 비명계 인사들을 만나는 장면을 통해 조기 대선 과정에서 불거질 수 있는 분열을 최소화시키려는 의도로 읽힌다.
반면 27일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명태균 특검법’에 당론과 달리 찬성표를 던진 김상욱 의원을 겨냥해 “당원으로서, 소속당이 있는 국회의원으로서 잘못된 행태”라고 공개 비판했다.
권 원내대표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고 여러 차례에 걸쳐서 당론을 위배해서 투표했는데, 앞으로는 당원으로서 당론을 따라주기를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5일 탄핵의 부당성을 주장하면서 헌법재판소 판결에 대한 승복을 언급하지 않은 ‘편 가르기 최종 변론’을 한 이후 여당 주류인 친윤은 연일 “탄핵 기각·각하”를 외치고 있다. 친윤 일색인 당 지도부와 중진의원들은 ‘당 화합’을 당부하는 대신 “헌재는 탄핵을 기각해야 한다” “각하해야 한다”는 입장만 쏟아냈다. 내달 헌재가 탄핵을 인용할 경우에도 친윤이 탄핵 반대 입장을 바꿀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지난해 12월 14일 윤 대통령 탄핵 표결에서 국민의힘 의원 113명 중 85명이 반대표를 던졌다. 이들은 찬성표(12명)와 무효(3표), 기권표(8표)를 겨냥해 “민주당 부역자”라고 비판하면서 “90명이라도 똘똘 뭉치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반탄파로 꼽히는 80~90명이 조기 대선 과정에서 찬탄파와 대치할 것으로 점쳐지는 대목이다. 소수인 찬탄파는 대선 경선에서 고전이 예상된다.
야권이 27일 통과시킨 ‘명태균 특검법’도 여당 분열을 초래할 수 있는 변수로 꼽힌다.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명태균 특검법은) 조기 대선 가능성을 겨냥해 ‘제2의 김대업’으로 재미를 보겠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민의힘은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를 건의한다는 방침이다. 최 권한대행이 거부권을 행사하면 특검법은 재표결에 부쳐진다. 재표결이 통과되려면 국민의힘에서 8표 이상 이탈표가 나와야 한다. 명태균씨 의혹에는 여권 유력주자인 오세훈 서울시장과 홍준표 대구시장의 연루 가능성이 제기된다. 대선 경선 경쟁자로 꼽히는 김문수 노동부 장관과 한동훈 전 대표측의 이해가 다를 수 있는 것이다. 김 장관과 한 전 대표를 돕는 의원들이 정치적 셈법에 따라 ‘명태균 특검법’에 찬성표를 던진다면 여당 내에는 또 다른 분열 구도가 형성될 수 있다.
엄경용 기자 rabbit@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