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대기업 도시 10개, 서울대 10개 만들자”
국가 균형발전 위해
‘지역균형 빅딜’ 제안
김동연 경기지사는 3일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10개 대기업 도시’와 지역 거점 ‘10개 서울대’를 만들자”고 제안했다. 지난달 26일 ‘기후경제 대전환 전략’, 28일 ‘기득권 깨기와 기회공화국’ 만들기‘에 이어 3번째 국가의제로 ’지역균형 빅딜‘을 꺼냈다.

김 지사는 이날 SNS에 올린 글과 동영상 ‘대한민국을 바꾸는 시간(대바시) 3편-지역균형 빅딜’을 통해 “지역 자생력을 키우고 국가균형발전을 이루는 확실한 동력은 대기업과 대학”이라며 “서울공화국 타파의 해법은 지역균형 빅딜”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대기업과 대학에 파격적인 제안이자 기업과 인재 등 민간 영역을 움직일 수 있는 빅딜이 필요하다”며 ‘대기업 도시 10개,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제안했다.
김 지사는 “10개의 대기업 도시는 대기업을 지역으로 이전시켜 첨단 경제도시 10개를 만드는 것”이라며 도요타 본사와 주요 공장들이 함께 위치한 일본 도요타시를 한 사례로 들었다.
김 지사는 대기업이 본사와 공장, 연구소 등을 이전하면 해당지역에 대해 LH에 주는 수준의 도시개발권과 규제 해제 요구권을 부여하고 지역은행 등 금융업 설립 허용도 검토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최대 20년간 법인세·소득세·지방세 100% 면제와 근로자 소득세 100% 감면, 협력 중소·중견기업과 벤처·스타트업 상속세 감면 혜택도 제공해야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기업 도시와 연계한 서울대 10개 만들기 프로젝트도 제안했다. 10개 지역 거점 대학에 서울대 수준인 연 5000억원 규모로 투자를 대폭 확대하고 우수 학생·교원 확보를 위해 4년 전액 장학금, 교원의 겸직 허용 및 소득세 면제 확대를 추진하자는 내용이다.
김 지사는 “파격적 지원 대신 지역 기업이 필요로 하는 중점학과 중심으로 대학을 특성화하고 각 대학병원은 특수의료 분야를 중점 육성하자”면서 “지역과 소득에 따른 ‘비례입학제’를 대폭 확대하면 과도한 수도권 집중을 막고 대학 서열과 해소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지사는 마지막으로 “다음 대통령은 당선 즉시 내란의 소굴인 용산에서 벗어나 부처가 있는 세종으로 옮겨야 한다”며 “2028년 준공 예정인 ‘세종 국회의사당’ 등 입법부, 사법부까지 세종과 충청권에 자리를 잡는다면 국가균형발전에 확실한 진전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새로운 대한민국의 미래가 지역균형 빅딜에 달려 있다”며 “서울공화국을 해체하고 지역의 삶을 바꾸어 가자”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