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보령·태안 해상풍력 추진

2025-03-05 13:00:03 게재

석탄화력 대체 에너지

주민설득·인허가 과제

충남도가 2035년까지 산업용 전력사용량 대비 재생에너지 비율을 90%까지 끌어올리겠다고 선언한 가운데 해상풍력발전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충남 해상풍력발전량은 현재 ‘0’으로 결과에 따라 재생에너지로 전환이 가능할지 판가름이 날 전망이다.

5일 충남도 등에 따르면 현재 충남 서해안에 해상풍력발전을 추진하는 대표적인 지역은 보령시와 태안군이다.

이들 지역은 현재 대표적인 석탄화력발전지역이지만 석탄화력발전소 폐쇄 방침에 따라 심각한 위기에 직면한 지역이다. 석탄을 운송하기 수월한 충남 서해안지역이 이제 바닷바람을 이용한 해상풍력발전단지로 변신하고 있는 것이다.

태안군은 태안 서해 가의 안면 학암포 등 5개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추진하고 있다. 이 가운데 태안(500㎿) 서해(495㎿) 가의(400㎿)는 산업부로부터 발전사업 허가를 받았으며 현재 인허가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안면(400㎿) 학암포(160㎿)는 풍황계측기를 준비하고 있다. 풍황계측기는 바람세기를 측정하는 설비로 이를 통해 해상풍력 가능성을 판단한다.

보령시는 외연도·호도 인근(1GW), 녹도(320㎿) 등 2개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추진하고 있다. 녹도 인근은 발전사업 허가를 받은 후 인허가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2028년도 착공이 목표다. 외연도·호도 인근은 바람세기를 측정하고 있는 단계다.

일단 충남도는 7개 발전단지를 2035년까지 모두 가동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단순계산으로 이들 단지가 계획대로 건설·운영된다면 전체 3.27GW로 500㎿ 규모 석탄화력발전소 6개 이상을 대체할 수 있다.

이들 지자체는 다급한 입장이다. 가세로 태안군수는 지난달 21일 서울에서 열린 ‘석탄발전 전환 협의체’ 제2차 회의에 참석,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에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하기도 했다.

실제 해상풍력 발전단지를 조성하기까지는 환경영향평가, 군사작전지역 협의 등 만만치 않은 인허가 과정을 넘어야 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불어나는 건설비용도 부담이다. 국회가 최근 해상풍력발전을 신속하게 추진하기 위해 ‘해상풍력 보급 촉진 및 산업 육성에 관한 특별법’을 통과시켰지만 얼마나 실효성이 있을 지는 의문이다.

여기에 주민들의 반대도 과제다. 보령시 30여개 어업단체는 지난달 25일 ‘보령해상풍력 어업인피해대책위’를 출범시켰다.

보령시 관계자는 “특별법으로 해상풍력 인허가 과정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됐다는 점은 긍정적”이라면서도 “하지만 해상풍력은 주민들의 입장을 충분히 반영하면서 진행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윤여운 기자 yuyoon@naeil.com

윤여운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