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4205명 늘때 부산 1554명 줄었다
수도권 인구쏠림 가속
경제지표는 더욱 심각
수도권과 비수도권 인구 격차가 점점 커지고 있다. 2019년 처음 역전된 격차는 해를 거듭할수록 커지고 있다. 이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지표가 인천과 부산의 인구 변화다.
10일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수도권 거주자는 2604만7523명(50.86%), 비수도권 인구는 2516만9698명(49.14%)였다. 수도권 인구는 전년 대비 3만3258명(0.13%) 증가했지만 비수도권은 14만1366명(0.56%) 감소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인구 격차는 87만7825명으로 더 벌어졌다. 2019년 인구역전 이후 5년 만에 격차가 100만명에 육박했다.

이는 지난달 인구 증감만 놓고 보더라도 극명하게 드러난다. 2월 한달 동안 수도권 인구는 7385명 늘었고, 비수도권 인구는 2만3442명 줄었다. 인구 격차가 점검 벌어지고 있는 셈이다. 수도권 인구는 경기도만 990명 줄었고, 서울시와 인천시는 각각 4170명과 4205명 늘었다. 반면 비수도권에서 인구가 늘어난 지자체는 대전(835명)과 세종(759명) 뿐이다. 나머지는 모두 줄었다.
특히 수도권과 비수도권 인구 격차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인구 지표가 인천시와 부산시다. 지난달 인천시 인구는 17개 시·도 중 가장 많은 4205명 늘었다. 반대로 부산시 인구는 1554명 줄었다. 특·광역시 중에서 울산(-2043명) 광주(-1871명) 다음으로 감소 폭이 컸다.
2024년 2월부터 1년간 인구변화를 보더라도 인천시 인구가 2만5000여명 늘 때 부산시 인구는 2만7000여명 줄었다. 지금 추세라면 두 지자체간 인구 역전은 당초 예상한 2031년보다 앞당겨질 가능성이 높다.
두 지자체를 비교한 다른 지표는 이미 역전된 지 오래다. 지역내총생산(GRDP)은 2023년 이미 인천시(116조8630억원)가 부산시(114조1650억원)를 추월했다. 2015년만 해도 부산시 GRDP는 88조7490억원으로 인천(81조8050억원) 7조원 가량 많았다. 15세 이상 인구 중 실제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취업·실업자를 말하는 경제활동인구도 이미 역전됐다. 지난 1월 기준 경제활동인구는 인천이 174만7000명으로 부산(172만1000명)보다 2만6000여명 많다. 부산시가 제2 도시, 제2 수도라는 수식어를 인천시에 내줬다고 해도 될 만한 수준이다. 지방시대위원회 관계자는 “기회발전특구를 비롯한 4대 특구 활성화, 시·도 통합을 통한 행정체제개편 등 지방소멸을 막을 강력한 대책을 추진하지 않는다면 수도권 일극화를 막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