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 전투기 오폭사고는 ‘총체적 인재’
조종사 실수 및 감독 부실 공군 조사결과 중간발표
지난 6일 경기도 포천시 일대에서 발생한 전투기 오폭 사고는 조종사의 좌표입력 실수와 관리감독의 부실 등이 결합된 총체적 인재인 것으로 드러났다. 10일 공군이 밝힌 사고조사 중간발표에 따르면 사고의 1차적 원인은 조종사의 잘못된 좌표입력에서 시작됐다.
공군에 따르면 오폭 사고를 낸 KF-16 전투기 2대의 조종사 가운데 1번기 조종사가 사고 전날 비행준비를 위해 표적을 비롯한 경로좌표를 불러주고 이를 2번기 조종사가 JMPS(비행임무계획장비)에 입력하는 과정에서 잘못 입력됐다. 이를 재확인하지 않은 것이 1차적 원인이다. 그 뒤에도 이륙전 점검단계와 표적지역 진입 및 무장투하 단계를 거치면서 두 번의 추가 수정 기회가 있었지만 이마저도 날려버렸다. 결과적으로 1번기 조종사는 전 임무 과정에 적어도 세 차례 이상 표적을 재확인했어야 했지만 이를 시행하지 않았다. 2번기 조종사는 수동으로 좌표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1번기와 달리 정확한 좌표를 입력했지만 밀집대형 동시 공격을 하는 당시 훈련상황에 쫓겨 1번기 지시에 따라 동시에 폭탄을 투하했다. 이렇게 KF-16 전투기 2대에서 MK-82 폭탄 각 4발씩 총 8발이 민가에 오폭했고 민간인과 군인 등 15명이 중경상을 입는 초유의 사고가 발생했다.
부대의 지휘관리감독에도 허점을 드러냈다. 공군에 따르면 해당 부대 지휘관인 전대장(대령)은 상부 지시와 연계한 안전지시 사항을 하달하는 등 전반적인 지휘관리 업무를 수행해야 하지만 이에 대한 검토가 부족했고, 특히 안전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대대장에 위임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대장(중령) 역시 실무장 화력훈련임을 감안해 조종사들의 비행준비 상태를 적극 확인하고 감독했어야 했지만 세밀한 지휘감독은 미흡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사격임무 통제 측면에서는 정상적인 절차를 거친 뒤 조종사가 “표적 육안확인”을 통보하자 최종공격통제관(JTAC)이 이를 절차대로 승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군은 “국민여러분과 포천시 노곡리 주민께 다시 한 번 사과드린다”면서 “통렬히 반성하고 잘못된 관행을 바로잡아 다시는 이런 사고가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공군은 재발방지 대책으로 △ 최종공격단계 진입 전 편조간 표적좌표 상호 확인 △ 비정상 상황 발생시 조종사가 신속전파 후 적절한 조치가 이뤄지도록 보고체계 점검 강화 △ 지휘관의 관리책임 강화 △ 비정상 상황에 대비해 중첩적 임무통제 △ 실무장 훈련에 대한 경각심과 책임감 제고 등을 약속했다. 공군은 또 피해 주민들에게 국가배상절차에 따라 신속하게 배상받도록 협조하고, 피해복구 지원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정재철 기자 jcjung@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