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재가 중증장애인 자립욕구 실태조사

2025-03-11 09:32:07 게재

광역 시·도 최초

정책수립에 활용

경기도가 광역지자체 최초로 3월부터 11월까지 재가 중증장애인 1000명을 대상으로 자립욕구 실태조사를 실시한다.

도와 경기복지재단은 11일 “오는 17일부터 31개 시·군으로부터 조사명단을 확보해 5월부터 11월까지 실태조사와 결과보고서 작성을 완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재가 중증장애인’은 병원이나 시설에 입소하지 않고 필요한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주로 가정에서 생활하는 중증장애인이다.

경기도청 전경
경기도청 전경. 사진 경기도 제공

도는 장애인 자립지원 정책 수립을 위한 근거마련과 정책시행을 위해 지난 2016년부터 3년 단위로 시설 중심으로 장애인 실태조사를 해왔다. 하지만 앞으로 지역사회 자립지원 정책대상이 재가장애인까지 확대됨에 따라 재가 중증장애인들의 자립욕구 실태조사에 나서기로 했다.

우선 정확한 재가 중증장애인의 자립생활 및 자립욕구 실태 확인을 위해 도내 전 시·군을 대상으로 모집단과 표본집단 크기를 도시형, 도농복합형, 농촌형으로 구분한다.

방문조사는 전문조사원이 표본으로 추출된 가구를 방문해 △경기도 재가 중증장애인의 일반적인 특성 및 보호자 특성 △직업 주거 경제활등 등 생활실태 △자립준비 여부 및 시기 △자립 시 필요한 서비스 및 주거형태 △자립지원 정책 인지여부 등을 파악한다.

이후 심층분석을 위해 재가 중증장애인 중 일부를 대상으로 장애유형 및 특성을 고려한 초점 집단인터뷰를 진행하고 전문가 자문회의도 추진할 예정이다.

도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을 위한 ‘경기도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한편 시설 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2년도 경기도 장애인 자립욕구 실태조사 결과 △생활비 지원 △활동지원사 필요 △일자리 및 주택지원 등을 요구하는 의견이 많았다. 도는 이를 정책에 반영해 △체험홈 자립생활주택 자립주택 등 거주공간 확충 △자립생활 정착금 증액 △장애인 공공일자리 확대 등을 추진했다.

김하나 경기도 복지국장은 “이번 실태조사를 통해 재가장애인의 자립생활에 대한 욕구를 파악해 지역사회에서 안정적인 자립생활을 할 수 있는 환경조성에 나서겠다”며 “사회·경제·문화적 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지원정책을 수립하고 도정에 반영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곽태영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