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의대 신설 ‘돌파구가 없네’
추진위 "정부 약속 지켜라"
탄핵·의대생 복구에 묻혀
전남도 등이 연일 정부에 국립 의과대학 신설을 촉구하고 있지만 탄핵 정국과 의대생 복구 등에 묻혀 무산될 위기에 놓여있다. 답답한 상황을 돌파하기 위해 여야 국정협의회 안건 채택 등을 추진 중이나 산적한 국정 현안이 많아 이마저 쉽지 않은 상황이다.
12일 전남도에 따르면 전남 국립의과대학 설립 범도민추진위원회는 11일 전남 의대 신설을 강력히 촉구했다. 앞서 추진위는 지난 6일 정부가 의대생 복귀를 전제로 2026학년 의대 정원 동결 입장을 밝히면서도 전남 의대 신설을 언급하지 않자 강하게 반발했다.
추진위는 이날 입장문에서 “정부가 대국민에 약속한 ‘전남 국립의과대학 신설’은 언급조차 하지 않은 채 2026년 의대 모집 인원 방침만 발표한 점에 대해 200만 도민은 깊은 아쉬움을 표한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는 지난해 3월 대국민 담화문을 통해 ‘전남 국립의대 신설’을 공식적으로 약속했다”면서 “이에 전남도는 정부 요청에 따라 목포대와 순천대 통합까지 끌어내는 노력까지 기울여 지난해 11월 ‘통합대학교 국립 의과대학’을 정부에 최종 추천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교육부의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방침 발표에서 ‘전남 의대 신설’ 계획을 포함하지 않은 것은 정부 스스로 국민과의 약속을 저버리고 행정의 신뢰를 무너뜨리는 사안”이라고 꼬집었다.
박형대 전남도의원도 이날 열린 전남도의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에서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백지화 결정을 강하게 비판하며 전남 의대 신설을 촉구했다. 박 의원은 “전남도민은 이번 정부 결정으로 전남의대 신설이 무산되지 않을지 크게 우려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전남도의회와 추진위 등이 의대 신설을 거듭 촉구하지만 정부는 논의하겠다는 입장만 되풀이하고 있다. 특히 장기화되는 탄핵 정국과 의대생 복귀 문제, 조기 대선 등이 예상되면서 2026학년도 전남 의대 신설이 사실상 무산될 가능성이 더 높아진 상황이다.
전남도는 이런 상황을 돌파하기 위해 △국정협의체 안건 채택 △교육부와 복지부 공문에 의대신설 명기 △야당 유력 대선주자 약속 등을 추진하고 있다. 전남도 관계자는 “탄핵과 의대생 복구 문제 등 답답한 상황에서도 새로운 돌파구를 찾기 위해 다양한 고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방국진 기자 kjbang@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