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 예견 가능성 없는 폭행치사 ‘무죄’

2025-03-12 13:00:18 게재

심장병 앓던 폭행 피해자, 심근경색 사망

대법, 폭행 혐의만 인정 ‘징역형 집유’ 확정

운전 중 시비가 붙자 처음 만난 상대방 운전자를 폭행해 숨지게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남성에게 ’폭행치사‘ 혐의로 처벌할 수 없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다. 심정지로 사망한 피해자가 평소 심장병을 앓고 있었다는 사실이 부검 결과 확인됐으며, 이런 사실을 모르는 폭행 가해자가 사망이라는 결과를 예견할 수 없었다는 이유에서다.

대법원 1부(주심 노태악 대법관)는 폭행치사 혐의로 기소된 A씨의 상고심에서 무죄를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고 12일 밝혔다.

A씨는 지난 2023년 7월 한 도로에서 트럭을 몰고 가던 중 승용차 앞으로 끼어드는 과정에서 피해자 B씨와 시비가 붙자, 얼굴을 수회 때리고 넘어뜨려 가슴을 누르는 등 폭행을 가해 숨지게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B씨는 폭행을 당한 후 도로를 걸어가다 갑자기 의식을 잃고 쓰러졌다. 구급대가 심정지 상태였던 B씨를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급성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

검찰은 A씨가 B씨를 폭행해 사망에 이르게 했다며 폭행치사 혐의로 기소했다.

이 사건의 쟁점은 A씨가 B씨가 사망하리라는 것을 예견할 수 있었는지였다.

폭행치사죄는 살해할 고의는 없었지만 폭행으로 사람을 숨지게 해 성립하는 결과적 가중범으로, 폭행행위와 사망의 결과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어야 하고 사망의 결과는 예견할 수 있어야 한다.

1심은 A씨의 폭행치사 혐의는 무죄로 판단하고 폭행 혐의만 인정했다.

B씨의 부검 결과 고도의 심장 동맥경화증이 발견됐는데, 재판부는 “피고인은 피해자와 사건 당일 처음 만나 피해자가 심장질환을 갖고 있단 사실을 알 수 없었다”며 “피고인이 가한 폭행의 정도를 경미하다고 평가할 수는 없으나, 통상적으로 사망의 결과를 초래할 정도로 중하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다만 1심 재판부는 폭행 혐의는 인정해 A씨에게 징역 8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또한 사회봉사 80시간도 명령했다.

2심도 A씨가 B씨의 사망을 예견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해 항소를 기각했다.

검찰이 상고했으나 대법원 역시원심 판단에 잘못이 없다고 보고 상고를 기각했다.

대법원은 “원심 판단에 폭행치사죄의 사망 결과에 대한 예견가능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고 판시했다.

김선일 기자 sikim@naeil.com

김선일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