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고용·복지 연계 지원’ 이용자 71.2% 증가

2025-03-13 13:00:22 게재

작년 7만8379명 지원받아

취약계층, 취업·복지 연계

‘상담직원 역량 강화’ 추진

서민·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금융·취업·복지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연계하는 정부의 복합지원 서비스를 받은 인원이 전년 대비 71.2% 증가했다. 정부는 복합지원 서비스를 보다 내실화하기 위해 상담직원들의 역량을 강화하는 내용의 방안을 마련했다.

13일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서울 중구 서민금융진흥원에서 관계기관과 함께 ‘복합지원 추진단 4차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내실화 방안을 발표했다.

‘금융·고용·복지 복합지원 방안’은 서민·취약계층의 온전한 경제적 자립을 다각도로 지원하기 위해 금융위원회와 고용노동부·보건복지부·행정안전부 등 관계기관이 합동으로 마련한 종합 대책이다. 복합지원 방안은 금융-고용, 금융-복지,금융-기타(불법사금융 피해자 지원), 인프라 등 4개 분야로 구성돼 있다.

생활고로 인해 금융지원을 받으러 온 청년 실업자에게 취업 지원 서비스를 연계하거나 소액생계비 대출자에게 복지서비스를 연계하는 등 복합지원을 제공하는 것이다.

금융과 고용·복지를 연계해 지원받은 인원은 지난해 7만8379명으로 전년(4만5773명) 대비 71.2% 증가했다. 금융·고용 연계지원을 받은 인원 중 무직·비정규직 비율은 지난해 83%로 전년 56% 대비 27%p 증가했다. 저소득자 비율은 75%에서 83%로 8%p 늘었다.

김 위원장은 “ 복합지원이 국민께 더욱 내실 있게 제공되기 위해서는 상담 직원분들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 정부와 유관기관은 공공마이데이터 활용 맞춤형 연계 체계 조기 도입, 매뉴얼·교육 보강 및 우수사례 포상을 포함해 상담직원을 다방면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복합지원 현장 운영 내실화 방안은 상담직원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으로 ‘업무 효율화’, ‘전문성 강화’, ‘사기 진작’ 등 3개 분야로 나뉜다. 현재 금융 분야 연계 업무를 어려워하는 복지 상담직원이 많고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서금센터)에 대한 접근성이 낮아 연계가 되더라도 방문에 어려움이 있다.

정부는 금융상담을 제공하는 ‘찾아가는 복합지원’ 사업을 2분기부터 부산·광주에서 시작하기로 했다. 부산·광주에서는 서금센터 직원이 지자체 기관을 직접 방문해 복지 상담직원에게 금융 제도를 설명해주는 ‘집중 현장 교육’을 시범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또 금융·고용 상담 기관(센터)의 직원들이 타 기관을 방문해 본인 담당 분야를 설명해주는 ‘집중 현장(방문) 교육’도 진행한다.

모범사례 전파와 포상으로 상담직원의 사기를 높이는 일도 병행된다. 우수사례집·영상을 만들고, 연중·연말에 우수사례자에게 복지 혜택을 제공하거나 시상해 상담직원이 업무를 적극적으로 수행할 유인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손필훈 고용노동부 고용서비스정책관은 “국민의 시각에서 물 흐르듯 끊김 없는 복합지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원팀으로 함께 하겠다”고 말했다. 이재연 서민금융진흥원장(겸 신용회복위원장)은 “상담직원들이 현장에서 복합지원 업무를 충실히 수행하도록 교육 및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경기 기자 cellin@naeil.com

이경기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