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EU 무역전쟁에 9.5조달러 흔들
“관세전쟁 격화땐 경제·교역관계 전반 타격” “위스키·샴페인 넘어 상호투자 위축”

미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에 따르면, 미국상공회의소 EU 지부(AmCham EU)는 17일(현지시간) ‘2025년 미-유럽 경제 보고서(Transatlantic Economy 2025)’보고서를 내 미국의 대유럽 관세 조치가 단순히 일부 제품의 가격상승에 그치지 않고, 미-EU 간 광범위한 투자 및 경제 협력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과 유럽(영국 포함)의 상품 무역 규모는 약 1조3000억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서비스 무역도 7500억달러를 넘었다. 그러나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양측 기업들의 상호 투자다.
미국 기업이 유럽에서 올린 매출은 4조달러 이상, 유럽 기업의 미국 내 매출은 3조5000억달러 이상으로 추산됐다. 즉, 양측 기업의 투자가 상품 및 서비스 교역보다 훨씬 더 큰 경제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말테 로한 암참(AmCham) EU 최고경영자(CEO)는 “상품 무역에 대한 피해도 심각하지만, 진정한 위험은 이것이 다른 경제적 연결고리까지 훼손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유럽과의 무역 적자를 주요 문제로 지목하며, 상품 교역을 중심으로 강경한 입장을 유지해왔다. 지난해 미국의 대EU 무역 적자는 2356억달러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그는 글로벌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유럽산 자동차 및 기타 산업 제품에 대해서도 25% 추가 관세를 경고한 상태다. 또한, EU의 특정 세금 및 규제 조치에 대응하기 위한 보복 관세 가능성도 시사했다.
EU도 즉각 반격에 나섰다. 미국산 위스키 등 다양한 제품에 대해 최대 5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고, 이에 트럼프는 프랑스 샴페인과 기타 유럽산 알코올 음료에 200%의 관세를 매기겠다고 위협했다.
이 같은 보복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특정 산업에 국한되지 않고 경제 전반에 걸친 연쇄적 충격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미-EU 간 무역 분쟁이 단순히 상품 무역에서 끝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한다.
이번 보고서의 공동저자인 존스홉킨스대 댄 해밀턴 연구원은 “EU가 보복 조치로 서비스 분야에 세금을 부과하면, 미국의 대유럽 서비스 수출에도 타격이 있을 것”이라며 “무역 분쟁의 여파가 기업의 미-유럽 간 경제 활동 전반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대유럽 해외 직접투자(FDI) 규모는 전 세계 총 투자액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유럽 기업이 미국에 투자한 FDI 규모도 전체의 약 3분의 2에 달한다.
대 EU 관세로 인해 유럽에서 생산한 부품을 미국 내 계열사 공장으로 보내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으며, 미국 내에서 생산된 제품이 EU로 수출되는 과정에서도 제재가 가해질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기업들이 미-EU 간 투자 결정을 주저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해밀턴 연구원은 “무역보다 더 중요한 요소는 양측의 투자 관계라고 강조”하며 “기업들이 미-EU 간 투자 확대를 주저하게 만드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미국-EU 경제 관계는 단순한 상품 거래를 넘어 서로의 경제에 깊숙이 얽혀 있는 투자 기반 위에 구축돼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기업의 유럽 내 해외 자회사 매출은 미국의 대유럽 수출액보다 4배 많고, 유럽 기업의 미국 내 자회사 매출도 유럽의 대미국 수출액보다 3배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내 제조업 활성화를 목표로 ‘공정 무역’을 강조하고 있어, 미-EU 간 갈등이 단기간 내 해소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이주영 기자 123@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