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산불 피해액 1조1400여억원
공공 6216억원 피해 확정
합동조사단 17일 조사완료
경북 북동부 지역 5개 시군에 발생한 산불의 피해조사가 마무리단계다. 피해조사와 확인을 끝낸 공공시설 피해규모는 15일 확정됐고 사유시설은 17일 완료된다.
경북도와 행정안전부 등 10개 정부 부처로 구성된 합동조사단은 지난 9일부터 15일까지 의성 안동 청송 영양 영덕 등 5개 시·군의 산불 피해 합동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피해 규모는 1조1366억원으로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지역별로는 안동이 3230억원을 가장 많다. 이어 영덕 2876억원, 청송 2559억원, 의성 2123억원, 영양 573억원 순이다.
이 가운데 사유시설 피해액은 5150억원으로 파악됐으며 17일 확인조사를 거쳐 확정된다. 도로, 하천 등 공공시설은 6216억원으로 확인조사가 끝나 15일 확정됐다.
합동조사단의 피해조사는 시·군의 신고와 국가재난안전관리시스템(NDMS)접수, 합동조사단의 현장 확인 조사, 부처협의 등의 절차를 거쳐 확정된다.
경북도 안전행정실이 밝힌 지난 16일 기준 피해규모 조사에 따르면 공공시설 중에서는 산림피해 등이 5831억원으로 가장 많다. 다음으로 도로와 하천이 각각 197억원과 137억원이다.
사유시설 중에서는 주택피해가 가장 많다. 주택피해액은 모두 3910채, 3518억원이다. 이어 어망어구 167억원, 축사 156억원, 비닐하우스 54억원, 가축 39억원, 수산양식 16억원 등이다. 이밖에 기타시설 피해가 1200억원에 달했다.
산불피해 주민에 대한 보상은 정부 규정 보상분과 국고추가분에 국민성금 배분금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주택의 경우 전파됐을 때 사회재난 규정에 따라 주거비로 2000만원에서 3600만원 정도 지원된다. 2022년 울진산불 당시에는 국민성금이 많이 모금돼 가구당 1억2000만원 정도가 지원됐다.
경북도 관계자는 “경북 북동부 산불의 경우 파손된 집이 20배 이상 많고 기부금은 상대적으로 적어 최종 지원금은 울진산불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재민들은 좀처럼 줄어 들지 않고 있다. 경북도에 따르면 이재민은 16일 오후 5시 기준으로 3509명이다. 이 가운데 3425명이 마을회관, 숙박업소 등의 임시주거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다. 체육관 등 대피시설 생활주민은 79명이며, 임시주택 입주자는 5명뿐이다.
최세호 기자 seho@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