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총선 앞두고 경제 비상대응체계 가동
“미국 상호관세 여파로
경기침체 빠질 가능성”
다음달 3일 총선을 앞둔 싱가포르 정부가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인한 경기침체 가능성을 우려하며 비상대응 체계를 가동했다.
17일 로이터통신과 AFP통신에 따르면 싱가포르 정부는 미국 상호관세 부과에 대처하기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기업과 노동자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간 킴 용 싱가포르 부총리 겸 통상산업부장관은 전날 TF 첫 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올해 싱가포르 경기가 침체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그는 “미국 관세가 세계 경제에 심각한 불확실성과 경기 침체 위험을 야기했다”며 “앞으로 더 큰 충격에 대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90일 유예에 앞서 싱가포르에 상호관세율 10%를 적용한다고 발표했다. 주변국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지만, 무역의존도가 높은 도시국가 싱가포르는 세계 경제 침체에 취약해 타격이 예상된다. 싱가포르 당국은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 범위를 기존 1~3%에서 0~2%로 하향 조정했다.
로런스 웡 싱가포르 총리는 전날 싱가포르기술디자인대에서 “미국과 중국의 무역 전쟁으로 양국 간 교역이 중단될 것이며, 고통은 그들뿐 아니라 모든 나라가 겪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관세율이 한순간에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알고도 장기 투자 계획을 편안하게 세울 수 있는 기업은 없다”며 무역 전쟁이 미국과 중국 경제의 디커플링(decoupling·분리)을 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웡 총리는 “우리는 글로벌 경제가 하나의 통합된 체계가 아니라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점점 더 양분화된 생태계로 재편되는 것을 목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역내 관세 철폐와 비관세 장벽 완화를 제안하며 중국, 인도, 한국과의 무역 협정을 개선해야 한다고도 말했다.
싱가포르 정부는 다음달 3일 총선을 치를 예정이다. 총선에선 총 97명의 의원을 선출한다.
지난 15일 웡 총리의 조기 총선을 위한 의회 해산 요청을 받아들이고 다음달 3일 총선을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웡 총리는 이날 페이스북에 “지난 수십 년 싱가포르의 성공을 가능하게 했던 국제적인 조건이 더는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이 중요한 시점에 국민들은 국가를 이끌 팀을 결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싱가포르는 1965년 이후 인민행동당(PAP)이 장기 집권했다. 리셴룽 전 총리는 20년 집권 끝에 지난해 5월 웡 당시 부총리에게 총리직을 넘기고 선임장관으로 물러났고, PAP 당권도 내려놨다.
이번 총선에서도 PAP 승리는 사실상 확정적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지만, 득표율과 의석수가 관건이다.
PAP는 2015년 총선에서 69.9%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나 2020년 총선에서는 61.2%로 하락했다. 당시 PAP는 전체 93석 중 83석을 차지했으나, 야당인 노동자당(WP)에 사상 최대인 10석을 내줬다. PAP가 승리하면 웡 총리는 자리를 유지한다.
김상범 기자 claykim@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