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파월 물러나야” 직격탄

2025-04-18 13:00:05 게재

관세 우려 발언에 분노 표출 … 백악관 내부는 해임 시도에 신중론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16일(현지시간)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열린 시카고 이코노믹 클럽에서 연설하며 미소를 짓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는 물가를 상승시키고 성장을 제약할 가능성이 있으며,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인플레이션과 실업률 해결 사이에서 선택해야 하는 부러운 입장에 처할 수 있다고 파월 의장은 말했다. 파월 의장의 발언 이후 미국 증시는 하락세를 보였다.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을 향해 금리 인하를 강하게 촉구하며 사실상 조기 사임을 압박하자, 백악관 내부에서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파월 의장 해임 시도가 금융시장의 불안을 키울 수 있다며 신중한 대응을 촉구했다. 이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잇따른 공개 발언에 따른 시장 충격 가능성을 염두에 둔 조치다.

트럼프 대통령은 4월 17일(현지시간)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내가 그에게 나가라고 하면 그는 나갈 것”이라며 파월 의장을 향한 불만을 드러냈다. 소셜미디어 트루스 소셜에는 “파월의 임기는 빨리 종료돼야 한다”고 적었다. 이는 파월 의장이 최근 연설에서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과 성장 둔화를 동시에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한 것에 대한 반발로 풀이된다.

백악관 측근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실제 해임 시도로 이어지기보다는 파월 의장을 경제 위기의 책임자로 몰아가려는 정치적 전략으로 보고 있다. 한 백악관 관계자는 폴리티코와의 인터뷰에서 “그는 마치 핀이 뽑힌 수류탄 같다”며 “트럼프는 언제든 입장을 바꿔 진짜 해임을 추진할 수 있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전날 시카고 이코노믹클럽 연설에서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상승과 경기 둔화 가능성을 언급하며 당장의 금리 인하보다는 경제 지표에 따른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현재 우리는 더 많은 명확성을 기다릴 수 있는 위치에 있다”고 말했다.

연방준비법상 연준 의장은 대통령이 ‘정당한 사유’ 없이는 해임할 수 없으며, 이는 위법이나 부정 행위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해당된다. 단순한 정책적 이견은 해임 사유가 될 수 없다.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 중에도 파월 해임을 검토했으나, 법적 논란과 시장 충격 우려로 실행에 옮기지 못한 바 있다.

베선트 장관은 이번에도 대통령 참모진에게 같은 이유로 해임 시도에 반대 입장을 전했다고 한다. 그는 “연준 의장을 해임하려는 시도는 관세로 이미 흔들린 금융 시장에 추가적 불안을 야기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투자자들은 중앙은행이 정치적 압력보다 경제 원칙에 따라 결정할 것이란 신뢰를 바탕으로 미국 금융 시스템을 지탱하고 있다.

워싱턴 정가에서는 파월 해임이 실제로 추진될 경우 대통령 권한과 독립 기관의 관계를 둘러싼 중대한 헌법적 시험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재 다른 독립기구 수장의 해임권과 관련된 소송을 대법원에 제기해 둔 상태다. 파월 의장도 “그 판결이 연준에 적용될지는 모르겠다.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ECB(유럽중앙은행)가 금리를 2.5%에서 2.25%로 인하한 것을 언급하며 “파월도 오래전에 금리를 인하했어야 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금이 금리를 내릴 적기”라며 인플레이션 완화와 고용 증가를 그 근거로 들었다. 그러나 연준은 지난달 기준금리를 4.25~4.50%로 두 차례 연속 동결하며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파월 의장은 오바마 행정부 시절인 2012년 연준 이사로 임명됐으며, 2018년 트럼프 대통령에 의해 연준 의장으로 지명됐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재신임한 후 현재 두 번째 임기를 수행 중이며, 그의 연준 의장 임기는 2026년 5월 종료 예정이다. 그는 현재까지도 “임기를 끝까지 수행할 것”이라는 뜻을 굽히지 않고 있다.

정재철 기자 jcjung@naeil.com

정재철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