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자체 장애인 인권지표 개발

2025-04-28 08:59:26 게재

84개 세부과제 담은

시행계획 심의·확정

경기도는 ‘경기도형 장애인 인권지표 개발’ 등 올해 84개 장애인 인권증진 과제를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

경기도청 전경
경기도청 전경. 사진 경기도 제공

앞서 도는 지난 24일 경기도 복합시설관에서 ‘2025년 경기도 장애인 인권증진위원회’를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2025년 경기도 장애인 인권증진 시행계획’을 의결했다.

이 시행계획에 따라 도는 올해 △모든 장애인이 보장받는 사회적 기본권 △모든 장애인이 누리는 일상적 생활권리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만드는 인권환경 △장애인 인권정책 실효성 강화 4대 분야에 걸쳐 84개 세부과제를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경기도형 장애인 인권지표 개발 및 조사, 도내 미취업 장애인 맞춤형 일자리 지원, 도비 장애수당 추가 지원, 소수 장애인 맞춤형 정책 추진을 위한 인권실태조사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경기도형 장애인 인권지표 개발·조사’는 장애인 인권현황에 대한 구체적 실태조사를 통해 관련지표를 개발, 장애인 인권상황을 파악하고 정책에 활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올 상반기 중에 도내 중증장애인거주시설 29곳을 선별해 인권 모니터링을 실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장애인 공공일자리 지원사업 확대, 특별교통수단(장애인콜택시) 추가 도입, 장애인 자립생활 주택 운영 지원, 장애친화 산부인과 운영 지원, 관광지 무장애환경 조성 확대 사업 등도 추진한다.

김하나 경기도 복지국장은 “기존 장애인 지원 정책의 성과를 바탕으로 2025년 장애인 인권증진 시행계획을 추진해 장애 유형·연령을 아우르는 포용적 복지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 장애인 인권증진위원회는 장애인 인권증진 기본계획·시행계획 및 인권증진에 관한 정책 등을 심의·자문하기 위해 설치됐다. 장애인 인권침해와 인권증진 관련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위원들로 구성됐다.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곽태영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