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땅꺼짐 사고에 자치구 “선제대응”
마포구 싱크홀 대책본부
성동구는 집중 안전순찰
동대문 공사장 주변 조사
최근 서울을 비롯해 전국에서 땅꺼짐 사고가 잇달아 발생하면서 자치구들이 긴장을 늦추지 못하고 있다. 마포구는 전담 대책반을 꾸렸고 성동구는 집중 안전순찰을 실시하는 등 선제대응에 나섰다.

마포구는 지난 28일 ‘싱크홀 대책본부’를 구성하고 땅꺼짐 사고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로 했다고 29일 밝혔다. 앞서 지난 13일 지하철 5호선 애오개역 인근에서 땅꺼짐 사고가 발생했고 지난 23일에는 동교동 양화로에서 지반침하가 추가됐다. 이어 지난 25일에는 대흥동과 공덕동 주택가 인근에서 잇따라 땅꺼짐이 발생해 긴급복구에 나섰다. 구는 “대형 공사장에는 현장민원실을 설치하고 공무원을 배치해 주민 불편을 덜고 보행자 안전을 챙기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은 어렵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싱크홀 대책본부는 부구청장을 중심으로 구민안전과가 주관이 된다. 도로개선과 물관리과 건축지원과 등 10개 관련 부서가 참여해 4개 실무반을 꾸렸다. 본부는 사고가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과 복구를 총괄한다. 상황에 따라 공무원 동원이나 주민 대피 등 명령을 내리고 통행제한을 한다.
마포구는 동시에 지난 2023년부터 2027년까지 5개년 계획에 따라 구 도로 377㎞를 순차적으로 탐사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부족하다는 입장이다.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는 낡은 하수관로 정비를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얘기다. 실제 마포구 전체 395㎞ 중 절반이 넘는 204㎞가 서울시 기준에 따른 ‘노후 하수관’이다. 이를 모두 정비하려면 3000억원 가량이 필요하다.
올해 예산 45억원으로는 불과 3.7㎞밖에 정비를 못한다.
박강수 마포구청장은 “마포구는 노후 하수관로가 많은 지역이라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신속한 대응책이 마련돼야 한다”며 “서울시 등과 협력해 주민 일상이 불안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성동구는 땅꺼짐 우려가 있는 건축공사장 인근 도로와 보도를 중심으로 집중 안전순찰을 하기로 했다. 땅꺼짐은 물론 해빙기 이후 단순 도로파손에 대한 민원을 늘고 있어서다.

토목·건축분야 주민전문감사관과 관련 부서가 함께 나선다. 도로·보도부터 빗물받이와 맨홀 주변, 보도블록과 보행로 경계석 등이 파손되거나 훼손되지 않았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핀다. 위해 요소가 발견되면 현장에서 ‘스마트 불편신고 앱’을 통해 해당 부서에 알린다. 다음달부터는 지표투과레이더 공동 탐사를 진행한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안전사고에 대한 주민들 우려가 증가함에 따라 선제적으로 안전점검을 하고자 한다”며 “앞으로도 경각심을 늦추지 않고 꼼꼼하게 위해 요소를 살펴 더욱 안전한 성동구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앞서 동대문구는 이달부터 위험지역 특별점검을 진행 중이다. 재난관리기금을 활용해 대규모 공사장 주변을 중심으로 점검 구간을 정하고 지표투과레이더(GPR)로 공동 조사를 하기로 했다. 폐쇄회로텔레비전(CCTV)을 활용한 조사도 병행한다.
김진명 기자 jmkim@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