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유의 ‘대행의 대행의 대행’체제
외교통상 이슈 부상 속
경제 사령탑 부재 우려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국정은 시스템으로 운영”
한덕수 전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일 사퇴하면서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권한대행직을 이어받게 됐다. 이 대행은 6·3 조기 대선까지 33일간 대행 직무를 수행하게 된다.

2일 0시를 기해 대행직을 맡게 이 대행은 전 부처 공직자를 대상으로 “국정 공백이나 혼란 없이 국가 운영을 안정적으로 이어 나가기 위해 정부가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긴급지시를 내렸다.
하지만 교육 전문가로 사회부처를 총괄해온 사회부총리가 외교·안보·경제 등 국정 전반의 콘트롤타워 역할을 맡게 되면서 국정이 차질 없이 운영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외교와 통상과 관련해 전문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던 한 전 대행과 최 전 부총리가 같은날 사퇴하면서 경제 통상 이슈에 대해 적절한 대응을 이어갈 수 있을지에 관심이 집중된 분위기다. 현재 미국과의 관세 협상은 시작 단계에 접어들었고, 체코 원전 수주에 따른 본계약 체결 등을 남겨 두고 있는 상황이다.
권력 교체기의 혼란스러운 국정 수습 우려와 관련해 이 대행은 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출근길에 기자들에게 “국정은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안정적으로 국정이 운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수 있게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무거운 책무를 맡게 돼서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며 “대선을 한 달 앞둔 기간이기 때문에 공정한 선거관리에 중점을 두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외교·안보·통상에서 공백이 생길 수 있다는 지적에는 “국회와 충분히 소통하고 국무위원들과 잘 논의해서 국정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답했다.
의대교육과 관련해서는 “일단 의대생들은 반드시 돌아와야 한다고 생각하고 철저하게 학사 관리하도록 하겠다”면서 “의대 문제를 포함해서 여러 난제를 짧은 기간이지만 해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전날 한 전 대행이 대선 출마를 위해 사퇴 발표를 한 이후 더불어민주당이 최 전 부총리에 대한 탄핵소추안 처리에 나서자 최 부총리는 전격 사퇴를 결정했다. 이에 따라 국정 서열 4위인 이 대행에게 대통령 권한대행 업무가 넘어왔다.
박소원 기자 hopepark@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