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코리아 논란’ 지자체 민관협력사업에 불똥
14개 시·군 우려 성명
모범에서 동네북으로
14개 기초지방자치단체 시장·군수들이 나서 최근 ‘본코리아 논란’에 우려하는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강영석 경북 상주시장, 이용록 충남 홍성군수, 최재구 충남 예산군수, 허창덕 충남 금산부군수 등은 7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근거 없는 비방과 일방적 비난을 말아달라”고 요청했다. 이날 공동성명에는 이들 외에 강원 정선·인제, 충북 음성, 전북 남원, 전남 강진·장성, 경북 안동·울진, 경남 통영·창녕 등 모두 14개 시·군이 참여했다. 이들은 본코리아와 민관협력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들 지방자치단체는 성명에서 “최근 부정확한 정보를 통한 근거없는 주장 등으로 민관협력사업이 위협받고 취지와 성과가 훼손되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며 “(이 때문에) 지역경제가 위축되고 업무의 일선에서 노력하고 있는 공직자들이 업무과중과 부담으로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어 “우리는 공공성과 투명성을 기반으로 한 민관협력사업이 더 이상 외부 간섭이나 무분별한 방해로 위축되지 않기를 바란다”며 “지역의 처절한 노력을 부정·왜곡하고 축소하지 말아달라”고 했다.
이들 단체장이 공동으로 성명까지 발표한 배경엔 최근 불거진 본코리아 논란이 있다. 백종원 대표가 이끄는 본코리아는 올해 초부터 농지법 위반, 허위광고 등으로 물의를 빚고 있다.
본코리아와 지자체의 민관협력사업은 2023년 초 충남 예산상설시장 성공 이후 본격화됐다. 충남 예산군은 백종원 대표 고향이다. 예산상설시장은 지난 2년간 750만명 이상이 다녀간 것으로 추산될 정도로 화제가 됐다. 소멸위기에 처했던 지역의 전통시장을 살린 모범으로 관심을 모으기도 했다. 공공의 자원과 민간의 창의성이 결합한 사례라는 말까지 나왔다.
하지만 올해 초부터 백 대표와 본코리아가 각종 구설수에 오르면서 위기가 닥쳐왔다. 백 대표와 본코리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민관협력사업에까지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 것이다.
예산군은 지난 5월 초 연휴동안 많은 관광객이 예산상설시장을 찾아 한숨을 돌렸지만 현재의 논란을 마냥 지켜볼 수만은 없다는 입장이다.
예산군 관계자는 “예산상설시장 사업이 지역에 놀라운 변화를 이끌어냈다는 점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다”며 “추진 과정에서 부족하거나 잘못된 부분이 있었다면 행정처분 등 필요한 조치를 통해 개선을 해나가면 된다”고 말했다.
백종원 대표는 최근 방송활동 중단을 선언하고 경영에 집중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윤여운 기자 yuyoon@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