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도서관 1관당 봉사 인구 3만9000명
2024년 실적 기준
공공도서관 수 1296개관
공공도서관 1관당 봉사 대상 인구가 3만9519명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도서관협회와 함께 ‘2025년 전국 공공도서관 통계조사(2024년 실적 기준)’ 결과를 15일 발표했다.
전국 공공도서관 수는 1296개관으로 전년(1271개관) 대비 2.0% 증가했다.
정규직 사서 수는 6072명으로 전년 대비 3.0% 증가했다. 정규 사서 1인당 봉사 대상 인구수는 8435명으로 도서관 전문인력 배치 여건이 점차 나아지는 추세로 파악됐다.
공공도서관 연간 방문자 수는 1관당 17만3000명으로 전년보다 8.7% 증가했다. 독서·문화 프로그램 참가자 수도 1관당 2만2366명으로 5.1% 증가했다. 1관당 대출도서 수는 11만3227권으로 완만한 증가세를 보이며 공공도서관 서비스 이용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도서관의 전자자료 수는 6억3000만종으로 전년보다 3.6% 증가했다. 국민 1인당 전자자료 수는 12.3종에 이르렀다. 국민 1인당 장서 수는 2.43권으로 전년 대비 소폭 증가(0.8%)했다. 다만 1관당 평균 자료 구입비는 8700여만원으로 전년 대비 3.7% 감소했다.
올해는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포용성과 역할을 더욱 정밀하게 파악하기 위해 지식정보취약계층을 장애인 노인 다문화가족 등 3개 집단으로 세분화한 지표를 처음 도입했다. 공공도서관은 지식정보취약계층을 대상으로 500만건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관련 예산 규모는 140억원을 넘어섰다.
또한 공공도서관은 세대와 계층의 구별 없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열린 공간으로 변화하고 지식정보취약계층을 위한 별도 자료실을 두기보다 건물 전체를 지식정보취약계층에 친화적인 환경으로 만드는 추세를 보였다.
이외 조사 결과는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에서 찾아볼 수 있다.
송현경 기자 funnysong@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