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로 인플레 지속 안돼…연말 금리 인하 지지”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 한은 콘퍼런스 강의 미국 낮은 수준의 관세율 시나리오 전제로 전망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가 올해 연말쯤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전망이 연준 내부 인사 입에서 나왔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2일 한국은행에서 열린 국제콘퍼런스 기조연설에서 “연말 긍정적인 신호에 기반한 금리 인하를 지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월러 이사는 이날 “실효 관세율이 낮은 시나리오 수준에 정착하고 기조 인플레이션이 2% 목표로 계속 개선된다”는 전제로 이같이 밝혔다.

‘낮은 수준의 관세’가 지속되면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이 단기적일 가능성이 높아 추가적 기준금리 인하가 가능하다는 지적으로 풀이된다. 월러 이사가 말하는 낮은 관세는 10% 수준의 기본 관세를 의미한다.
월러 이사는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은 지속적이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제 판단”이라며 “(낮은 관세 시나리오에서) 인플레이션은 연간 기준으로 3%까지 오를 수 있고 이후에는 해소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일부 기업들이 관세 인상을 핑계 삼아 가격을 인상할 수 있다는 우려도 들은 바 있다”면서도 “경쟁사에 시장 점유율을 뺏기거나 충성 고객의 신뢰를 잃을 위험 때문에 그런 일은 자주 발생하지 않는다”고도 했다.
관세가 10% 오르고 이를 모두 소비자에게 전가한다면 일반적으로 수입품 물가는 1% 오른다. 하지만 월러 이사는 관세 인상 여파가 그렇게 단순하게 작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관세 비용은 전부 전가되지 않고 소비자와 수입업자, 수출업자 사이에 1/3씩 나눠 부담될 가능성이 높다”며 “이 경우 단기간 인플레이션은 0.3%p 상승하게 된다”고 말했다.
한편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각국 정부가 재정지출을 늘리면서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왔다. 로버트 배로 하버드대 교수는 이날 콘퍼런스에서 발표한 논문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물가 상승률 반응계수는 각각 0.78%, 0.84%로 추산됐다고 발표했다.
이번 논문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7개국의 2020~2021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지출 증가분을 변수로 두고, 인플레이션 반응을 분석한 결과이다. 배로 교수는 논문에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재정지출 확대가 높은 인플레이션의 주요 요인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찰스 에반스 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미국 통화정책은 금리 조정이라는 단일 채널만으로 물가와 고용 안정을 동시에 달성해야 한다”며 “여기에 금융안정 목표까지 추가하면 정책 목표간 충돌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금융 불안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통화정책이 아닌 다른 정책수단을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에반스 전 총재는 “통화정책은 본연의 범위를 넘어선 추가목표 설정은 신중해야 한다”며 “대중의 잘못된 인식 해소를 위해 명확하고 지속적 소통이 중요하다”고 했다.
백만호 기자 hopebaik@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