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2차 무역협상 첫날 수출통제-희토류 논의
트럼프 “중국 쉽지않다”
미국과 중국이 9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고위급 무역 협상을 열고 양국간 갈등의 핵심으로 떠오른 수출통제 문제를 논의했다.
로이터·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은 양국 대표단이 이날 오후 8시까지 6시간 이상 대화한 뒤 첫날 협상을 마쳤다고 전했다. 양측은 10일 오전 10시 다시 협상을 재개할 예정이다.
미국 대표단은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USTR)가, 중국 대표단은 중국의 ‘경제 실세’로 평가되는 허리펑 국무원 부총리가 이끌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미국은 중국이 희토류의 대미 수출 제한을 완화하는 조건으로 중국을 겨냥한 기술 수출통제를 일부 해제할 의사가 있음을 시사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구체적으로 반도체 설계 소프트웨어, 제트기 엔진 부품, 화학 및 원자력 소재 등에 대한 수출통제를 해제할 준비가 됐다고 협상 상황을 잘 아는 소식통들이 블룸버그에 전했다.
이런 수출통제는 미국이 최근 중국과 무역 갈등 국면에서 중국을 압박하기 위해 새로 부과한 조치들이며,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에서 희토류를 원활하게 공급받기 위해 이런 조치 일부를 완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행사에서 협상 상황에 대해 질문받고서 “우리는 중국과 잘하고 있다”면서도 “중국은 쉽지 않다”고 답했다. 그는 “난 우리가 매우 잘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난 (협상팀으로부터) 좋은 보고들만 받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중국을 개방시키고 싶다”면서 중국이 오랫동안 미국을 불공정하게 대우했지만 자기가 중국에 관세를 부과할 때까지 어느 미국 대통령도 중국에 대응할 용기가 없었다고 주장했다.
이번 협상은 양국이 지난 5월 10~11일 제네바에서 타결한 무역 합의에 대한 위반 여부를 둘러싼 양국 간 입장차에서 비롯됐다. 당시 양국은 90일간 서로 관세를 115% 포인트씩 대폭 낮추기로 했으며 중국은 미국이 지난 4월 초에 발표한 상호관세에 대응해 시행한 비관세 조치를 해제하는 행동에 나서기로 했다.
하지만 미국은 중국이 핵심광물과 희토류의 수출통제가 유지되고 있다면서 합의 위반을 주장했고, 중국은 미국이 제네바 합의 이후 발표한 대중국 수출통제를 “차별적”이라고 문제 삼으며 미국에 합의 준수를 촉구해왔다.
김상범 기자 claykim@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