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경·공, 특검 앞두고 수사 속도

2025-06-10 13:00:03 게재

검찰, 내란 혐의 입증 비화폰 서버 기록 확보 나서

경찰, 윤석열 2차 소환 통보 … 강제 신병확보 검토

공수처 ‘VIP 격노설’ 규명 전화 발신 장소 특정 주력

‘내란 특검’ ‘김건희 특검’ ‘채상병 특검’ 등 3대 특검이 가시화되면서 관련 의혹들을 수사해온 검찰과 경찰,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등 수사기관의 움직임에 관심이 모아진다. 특검이 가동되면 이들 기관은 기존 수사 내용을 특검으로 넘겨야 하지만 특검이 공식 출범하기 전까지는 최대한 수사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10일 이재명 대통령이 국무회의를 거쳐 3대 특검법을 재가함에 따라 본격적인 특검 임명 절차를 밟을 것으로 보인다. 11~12일 이내에 특검을 임명하고 특검보 임명과 파견 검사 및 수사관 선발 등 20일간의 준비작업을 마치면 이르면 다음달 초부터 수사에 착수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건희 대면조사 시도 = 12.3 내란 사태를 수사해온 검찰은 특검이 본격 가동되기 전까지 기존대로 수사를 이어갈 방침이다.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본부장 박세현 서울고검장) 관계자는 “특별검사를 임명하고 수사팀을 구성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며 “특검이 출범하기까지 종전과 같이 수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검찰 특수본은 내란 혐의로 기소한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등 재판의 공소유지와 함께 ‘노상원 수첩’ 등 잔여 의혹 수사에 주력하고 있다.

특수본은 9일에도 대통령경호처로부터 비화폰 서버기록과 폐쇄회로(CC)TV 자료를 임의제출 방식으로 확보했다. 검찰은 윤 전 대통령의 혐의 입증을 위해 지난달 말부터 경호처 자료 확보에 나섰는데 6.3 대선으로 중단됐던 자료 확보 절차를 다시 재개한 것이다. 특수본은 확보된 자료에 대한 포렌식과 함께 관련자 소환 조사 등을 이어나갈 계획이다.

김건희 여사가 연루된 건진법사 전성배씨의 국정개입 의혹과 청탁금지법 위반 혐의를 수사하는 서울남부지방검찰청도 최대한 수사해 특검으로 넘긴다는 방침이다.

남부지검 관계자는 “수사는 멈추지 않고 있다”며 “(특검 전) 할 수 있는 수사는 다 한다고 보면 된다”고 밝혔다. 검찰은 전씨가 통일교 고위 인사로부터 선물 명목으로 샤넬 가방과 6000만원대 다이아몬드 목걸이를 받아 김 여사에게 전달했는지를 수사하고 있다. 검찰은 윤 전 대통령 사저를 포함해 김 여사 주변 인물들에 대한 압수수색과 관련자 조사를 했다. 최근에는 김 여사 최측근 수행비서가 샤넬 가방을 교환할 당시 동행한 인테리어업체 대표 부인 자택을 압수수색 하기도 했다. 관련자도 추가로 검찰로 불러 조사하고 있다. 다만 아직까지 가방과 다이아 목걸이 실물은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특검으로 수사가 넘어간 이후 지금까지 수사에 대한 평가도 받는 만큼 그때까지 최대한 성과를 내려 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김 여사를 직접조사까지 할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윤 전 대통령 부부의 공천개입 의혹을 수사하는 서울중앙지방검찰청 명태균 의혹 전담수사팀은 김 여사측과 출석 조사를 조율하고 있다. 검찰은 앞서 지난달 14일 검찰청사에 나와 조사받으라고 통보했지만 김 여사가 응하지 않아 불발된 바 있다.

검찰은 이후에도 계속해서 대면조사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전달했지만 김 여사는 이에 불응하고 9일 의견서를 제출했다. 의견서에는 명태균씨와 관련해 제기된 의혹들이 정치자금법 위반이나 뇌물 등 범죄 구성요건을 충족하지 않거나 모순된다는 주장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관계자는 “김 여사에 대한 대면조사가 필요하다는 수사팀 입장엔 변함이 없다”며 “조사를 위해 필요한 절차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 비화폰 삭제 지시 혐의 추가 =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특수단)은 윤 전 대통령측에 12일 출석해 조사받으라는 소환 요구를 했다. 지난달 27일 대선 직후인 5일 경찰로 출석하라는 1차 소환 통보에 윤 전 대통령이 불응하자 2차 소환을 통보한 것이다.

윤 전 대통령이 경찰에 출석한다면 전직 대통령 중 처음으로 경찰 출석조사를 받는 셈이 된다. 경찰은 윤 전 대통령이 다시 불응하면 3차 소환 통보하고 이마저도 거부하면 신병확보에 나설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1월 자신에 대한 체포를 저지하라고 대통령경호처에 지시한 혐의(특수공무집행방해)를 받는다. 경찰은 최근 경호처 비화폰 서버 분석을 통해 계엄 나흘 뒤인 지난해 12월 7일 경호처에 군사령관들의 비화폰 관련 정보를 삭제하라고 지시한 혐의(경호처법상 직권남용 교사)를 추가했다.

경찰 안팎에서는 경찰이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수사에 속도를 내는 배경으로 내란 특검 출범에 주목한다. 경호처와 줄다리기 끝에 비화폰 서버 등 핵심 자료를 확보한 경찰이 특검 출범 전 최대한 수사를 진행하기 위해 속도를 낸다는 관측이다.

채상병 순직사건 수사외압 의혹을 수사하는 공수처도 경호처를 상대로 대통령실 ‘02-800-7070’ 번호와 관련한 기록을 추가로 확보하고 있다. 앞서 2023년 7월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은 폭우 실종자 수색 중 급류에 휩쓸려 사망한 채상병 순직사건과 관련해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등에게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를 적용한 해병대수사단의 조사 결과를 결재했다가 번복했는데 직전 02-800-7070 번호로 걸려온 전화를 받은 것으로 드러난 바 있다.

공수처는 지난달 02-800-7070 번호 서버 기록 등을 확보해 이 전 장관에게 걸려온 전화의 발신 장소를 윤 전 대통령이 사용하는 부속실과 집무실 등으로 압축했다. 공수처는 발신 장소를 더 구체적으로 특정하기 위해 추가 자료를 임의제출 형태로 제출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수처 관계자는 “특검에 사건을 넘길 때 넘기더라도 필요한 증거 확보 등 최대한 수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구본홍·박광철 기자 bhkoo@naeil.com

구본홍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