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7월 조기전대 검토…당원 영향력 막강

2025-06-10 13:00:02 게재

정청래·박찬대·박용진·김경수 후보군에

권리당원 반영비율 56% 달해, 압도적

당원 예비경선부터 참여, 결선투표제 도입

“새 정부 지원할 지도부 공백 메워야”

더불어민주당이 지도부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음 달에 조기 전당대회를 열고 당대표, 최고위원을 새롭게 선출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부터 당원 투표 반영비율이 높아지면서 원내대표와 함께 당 지도부 선출에도 강성지지층의 영향력이 커질 전망이다.

‘마지막 원내대책회의’ 참석하는 박찬대·진성준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와 진성준 정책위의장(왼쪽)이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현 원내지도부의 마지막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하며 환하게 웃고 있다. 연합뉴스 김주성 기자

10일 민주당 고위관계자는 “지난 주 최고위원회의에서 조기 전대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면서 “지도부를 공석으로 둘 이유가 없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했다.

다른 핵심관계자는 “7월 전당대회가 불가피하다”며 “대선을 거치면서 현재 최고위원 등의 에너지가 소진된 상태로 리더십 교체는 빠를수록 좋다”고 했다.

민주당은 당대표였던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4월에 21대 조기대선에 출마를 위해 사퇴한 이후 두 달 이상 대표 자리가 빈 채 운영돼 왔다. 대선기간에는 선대위 중심으로 운영돼 왔기 때문에 지도부 부재가 크게 두드러지지 않았지만 이재명정부가 들어오면서 당정체계를 정상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원내대표와 함께 당대표 선출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새 정부를 지원할 지도부 구성이 시급하다는 얘기다.

이번 당대표 선거는 지난해 당원 반영 비중을 대폭 확대한 규정이 적용된다. 당시 당원들의 선택에 최고위원들의 당락과 순위가 좌우되는 모습을 보이는 등 ‘당원의 힘’이 확인되기도 했다.

민주당은 ‘당원민주주의 확대’ 차원에서 권리당원 투표 비중을 대폭 늘렸다. 예비경선에도 권리당원이 참여하고 본투표에서는 과반을 당원 몫으로 떼어 놓은 게 핵심이다. 우선 당대표 예비경선에서는 기존 ‘중앙위원 70% 국민여론조사 30%’에서 ‘중앙위원 50% 권리당원 25% 국민여론조사 25%’로 바꿨다. 또 중앙위원 100%로 치러졌던 최고위원 예비경선에서도 ‘중앙위원 50% 권리당원 50%’로 변경했다.

전당대회 본투표에서 적용되는 권리당원의 투표 반영 비율도 상향조정됐다. 본투표의 대의원-권리당원 투표 반영 비율은 대의원 14% 권리당원 56%다. 권리당원 비중이 40%에서 크게 늘어났고 대의원 비중은 30%에서 반토막 났다. 국민여론조사 반영비율은 30%다. 이에 따라 대의원 1표는 권리당원 19.1표와 같은 가치를 갖게 됐다. 대의원-권리당원의 투표 비율을 20대 1 미만으로 제한한 규정을 지키려는 의도로 해석됐다.

민주당은 전날 차기 당 대표 선거에 결선투표제를 도입하는 당헌·당규 개정안을 의결했다. 이번 전당대회 준비위원회(전준위) 위원장으로는 4선 이춘석 의원이 임명됐다. 소병훈 송옥주 의원을 부위원장으로 임명하는 등 총 16명에 대한 전준위 구성도 마무리됐다. 전준위 총괄본부장에는 임호선 의원, 위원에는 천준호 정일영 황명선 박지혜 의원 등이 포함됐다.

한편 여론조사 꽃이 지난 6일과 7일 양일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9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조사를 실시한 결과 차기 민주당 대표 적합도에서 정청래 의원이 28.2%로 박찬대 원내대표(11.7%)보다 16.5%p 높게 나왔다. 박용진 전 의원이 7.7%,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5.4%로 뒤를 이었다. 그 외 인물이 2.7%, ‘적합한 인물이 없다’가 32.0%였다.

민주당 지지층들에게만 물어본 결과를 보면 정청래 의원이 45.6%로 박찬대 원내대표(27.2%)를 크게 앞섰다. 그 뒤는 박용진 전 의원(4.7%), 김경수 전 지사(3.0%) 순이었다.(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 자세한 내용은 중앙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박준규 기자 jkpark@naeil.com

박준규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