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글로벌 거래액 3조원 목표”
무신사, 일본 중국에 이어 아시아 유럽 중동 진출 본격화
글로벌스토어 국내 브랜드 2000개 입점 … 해외진출 지원
무신사가 해외 시장 진출을 고민하는 국내 패션 브랜드를 대상으로 ‘K-패션’ 성공을 돕기 위한 파트너 전략을 공개했다.
무신사는 국내 브랜드들이 글로벌 스토어에 입점하는 것을 비롯해 해외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필요한 마케팅, 물류 등 해결책을 전문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이 과정에서 무신사는 일본 중국 동남아 중동 등 주요 거점지역별로 현지 최고 협력 파트너와 손을 맞잡고 2030년까지 글로벌 거래액 3조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무신사는 10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2025 무신사 글로벌 파트너스 데이’ 행사에 앞서 미디어 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박준모 무신사 대표가 ‘무신사가 K-패션 브랜드와 함께 만드는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박 대표는 “K-컬처가 메인스트림이 되고 과거와는 다른 시장 반응과 기회가 존재하는 지금이 한국 브랜드 해외 진출 최적기”라면서 “아직 한국 패션 브랜드 중에서 글로벌 성공 사례는 부재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박 대표는 “무신사는 규모 성장률 사업영역 모든 측면에서 압도적인 국내 최고 패션 브랜드 파트너”라고 강조했다.
무신사가 2022년 선보인 글로벌스토어는 거래액이 연평균 260% 증가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4월말 기준 무신사 글로벌스토어 입점 브랜드는 2000여개에 달한다. 4월 기준 글로벌 스토어 월간 활성 사용자수도 300만명에 이른다. 무신사가 2021년에 낸 첫 해외 자회사인 ‘무신사 재팬’은 일본 시장에서 브랜드 사업 실적이 2021년 대비 2024년에 17배 성장했다.
이날 무신사는 입점 브랜드를 위한 지원 방안으로 △무신사 풀필먼트 서비스(MFS) △국내-글로벌스토어 입점 연동 △국내-글로벌 앱 통합 계획을 발표했다.
무신사는 입점 브랜드를 위해 글로벌 물류 전 과정을 대행해주는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입점 브랜드가 국내에 있는 무신사 물류센터에 상품 재고를 입고하기만 하면 국내와 해외 고객주문에 대응하는 물류 전 과정을 풀필먼트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일본 시장을 타깃으로는 물류 전진 배치 서비스를 선보이며 기존에 1주일 안팎으로 걸리던 배송기한을 1~2일로 단축했다. 현재 일본에서 물류 전진 배치 서비스를 받고 있는 마뗑킴은 현지 풀필먼트 서비스 제공 전과 비교해 일 평균 거래액이 7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무신사는 8월부터 파트너 브랜드를 대상으로 국내 스토어와 글로벌 스토어 간 입점 연동시스템도 제공할 방침이다.현재 2000여개인 글로벌 스토어 입점 브랜드는 8월 이후에 8000개 이상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무신사는 국내와 글로벌 앱을 통합하여 현재 제공하고 있는 검색 추천 랭킹 콘텐츠 등의 서비스를 해외 고객들에게도 제공한다. 이런 전략을 바탕으로 무신사는 올 하반기부터 글로벌 시장에서 온·오프라인 진출을 가속화한다.
현재 글로벌 스토어가 판매하고 있는 13개 타겟 지역을 중국 유럽을 넘어 중동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온라인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매장도 출점할 계획이다.
올해 일본과 중국을 시작으로 내년에는 싱가포르와 태국에 진출한다.
2030년까지는 미국 캐나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북미와 동남아시아 지역까지도 오프라인 진출을 추진할 계획이다.
정석용 기자 syjung@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