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맑은물하이웨이’ 무산 위기

2025-06-11 13:00:39 게재

대구·부산만 강물 취수

100대 국정과제 포함 관건

대구시민에게 대규모 산업단지 하류의 강물 대신 상류의 깨끗한 물을 공급하겠다는 대구시의 ‘맑은물 하이웨이 사업’이 다시 표류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11일 대구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23년 12월부터 낙동강 구미 해평취수장 공동활용방안 대신 안동댐 직하류 물을 취수해 대구 정수장으로 직접 끌어 공급하겠다는 ‘맑은물 하이웨이’사업을 추진해왔다.

2022년 4월 정부와 지자체 등이 합의한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은 구미 해평취수장에서 30만톤을 취수해 대구에 28만2000톤, 경북 일부(고령 성주)지역에 1만8000톤을 각각 공급하는 대신 대구시 등은 구미의 취수영향지역에 상생차원의 지원책을 추진한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구미시는 2022년 6월 지방선거 직후 취수원을 구미보 상류로 이전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상생발전 협정 무효화를 주장했다.

이에 대구시는 상생협정 파기를 통보하는 한편 2023년 12월 안동댐 직하류에서 63만5000톤을 취수하는 방안을 정부에 건의했다. 환경부는 이에 대한 기술타당성을 검토한 뒤 안동댐 직하류에서 하루 46만톤을 취수하고 자구책으로 17만5000톤을 공급하는 방안으로 수정 제시해 대구시·안동시의 합의를 이끌어 냈다.

하지만 환경부는 최근 수정된 대구시의 맑은물 하이웨이사업을 대해 상주와 의성 주민들을 대상으로 주민설명회를 개최했으나 반발에 부딪혔다. 상주시는 기존 해평취수장을 활용해야 한다며 반발했고, 의성군은 안동댐에서 대구로 물을 공급하는 대형관로 매설 예상지역 주민피해 보상 및 보상 주체를 명문화해야 한다며 반대의견을 냈다.

지난 6.3 대통령선거 결과도 새로운 걸림돌로 부상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구취수원 다변화와 영남의 생명줄 낙동강 살리기 등을 지역공약으로 채택했다. 이 때문에 이재명 정부가 대구의 맑은물 하이웨이 사업을 국정과제에 반영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대구시 관계자는 “대통령과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바뀌었다고 해서 사업이 지연되면서 혈세가 낭비되고 국민들의 고통을 가중시키는 잘못된 관행은 끝내야 한다”며 “정부가 낙동강 중하류권 시민들의 취수원을 이전하는 30년 숙원사업을 해결하는데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시는 부산과 함께 전국 7대 대도시 가운데 댐물이 아닌 강 표류수를 마시고 있다. 특히 대구 취수원인 낙동강 중하류에서는 지난 1991년 페놀유출 2회 등을 비롯 2018년까지 8건의 각종 수질사고가 발생해 먹는물 위기에 노출돼 있다.

최세호 기자 seho@naeil.com

최세호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