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 김병주 구속, 청문회 열어야”
홈플러스 사태 100일
노조 “정부 개입” 촉구
3월 4일 MBK파트너스가 서울회생법원에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한 지 11일로 100일이다. 마트산업노조 홈플러스지부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MBK는 홈플러스 회생 책임을 회피하지 말고 직접 대화에 나서야 한다”며 정부의 적극적 개입을 촉구했다.
법원의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 개시이후 납품업체들의 공급 중단으로 매장 진열대는 텅 비었고 고객 신뢰는 급속히 추락했다. 노조는 “회생신청 이후 27개 매장이 계약 해지됐고 폐점 예정 9곳까지 포함하면 총 36개 점포가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면서 “이는 단순한 사업 축소가 아니라 대규모 구조조정이자 약 33만명에 달하는 직·간접 고용과 지역경제를 위협하는 사회적 재난”이라고 지적했다.
홈플러스는 ‘고용안정지원제도’를 통해 고용을 보장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노조는 “퇴사를 희망하는 직원에게 일시금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고용을 ‘보장’하는 것이 아니라 ‘정리’하는 수단”이라며 “MBK는 노조와 체결한 ‘하이퍼 폐점 고용안정 협약’에 대해서는 단 한 번도 언급하지 않고 있다”고 했다.
2022년 2월 28일 홈플러스와 민주노조연대가 체결한 ‘하이퍼 폐점 고용안정 협약’에는 ‘하이퍼마켓에 대한 자산유동화를 시행할 경우 홈플러스의 지속성과 해당점포 소속 직원의 고용안정을 위해 재입점을 기본방향으로 한다’ 등이 주요내용으로 담겼다. 또 지난해 3월 28일 노사의 단체협약 부속합의서에는 ‘하이퍼 폐점 고용안정 협약’ 적용을 ‘하이퍼 마켓 중 임대점포의 임대차계약 만료 또는 중도해지, 자가개발로 인하여 폐점되는 점포’로 확대하는 내용을 추가했다.
노조는 “MBK가 의도적으로 홈플러스를 ‘망해가는 기업’으로 낙인찍고 직원들을 퇴사로 몰아가며 혼란과 불안을 확산시키고 있다”면서 “퇴직금 적립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불안감 속에 수천명의 직원들이 퇴직금제도 변경을 신청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고 밝혔다. 이어 “이는 명백히 의도된 혼란 조장이며 무책임한 회생 운영”이라고 비판했다.
노조는 회생절차 발표 직후부터 MBK에 대화를 요구해 왔으나 100일이 지나도록 단 한차례의 공식 답변도 받지 못했다고 전했다.
노조는 “MBK가 책임있는 주체로서 최소한의 협의조차 회피하고 있다”며 김병주 MBK 회장의 구속수사, 지방정부의 홈플러스 폐점 반대 결의안 채택, 정부 주도의 노사정 대화기구 구성을 요구했다.
노조는 “홈플러스는 아직 무너지지 않았다”며 “탐욕적 사모펀드의 먹튀를 막고, 지속가능한 유통기업 모델을 만들기 위해 끝까지 싸우겠다”고 밝혔다.
한남진 기자 njhan@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