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협력 기반 공공 분야 AI 도입 가속화

2025-06-18 13:00:12 게재

과기정통부 AI 확산 사업

10개 과제 선정 개발 지원

정부가 수입통관 데이터 등을 활용해 수입물품 안정성 판단을 하는 ‘인공지능(AI) 기반 전자상거래 안전거래 솔루션’ 개발을 추진한다.

또 아이돌봄 데이터 등을 활용해 돌봄서비스 신청서 작성, 대화형 질의응답 등이 가능한 ‘스마트 아이돌봄 지원 AI 통합솔루션’도 개발•실증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 같은 내용들을 포함한 10개 과제를 선정해 정부 부처와 협력해 공공 분야에 AI를 접목하는‘부처협업 기반 AI 기반 확산 사업’ 신규과제 착수 보고회를 개최했다고 18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2022년부터 국가 AI 대전환(AX)의 일환으로 다양한 공공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AI 서비스를 개발・실증하는 부처협업 기반 AI 확산 사업을 추진 해왔다.

이 사업은 민간과 부처가 함께 협력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혜택을 제공하고 공공 업무를 효율화할 수 있는 AI 서비스를 개발•실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부처는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와 실증 환경을 제공하고 기업은 AI 서비스를 개발한 뒤 현장 실증을 거쳐 서비스의 공공 분야 도입을 추진한다.

올해에도 기존 과제들과 함께 10개 신규 과제를 선정해 AI 서비스 개발•실증을 지원한다.

이번에 선정된 10개 과제들은 수입물품 안정성 판단, 112 신고 접수 및 출동지원 등 공공업무를 혁신할 수 있는 서비스부터 맞춤형 아이돌봄, 공정 하도급계약서 작성 지원 등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돼 있다.

과기정통부는 각 과제에 대해 연간 9억원의 규모로 2년간 지원한다. 올해에는 부처 데이터를 학습해 서비스를 개발하고 이후 부처 테스트베드에 실증을 거쳐 실제 현장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김경만 과기정통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우리는 지금 AI 전환의 속도가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중대한 시기에 놓여 있다”며 “국가 AX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공공부문의 선도적인 AI 활용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고성수 기자 ssgo@naeil.com

고성수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