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혁신특구 국제공동 R&D 추진
중기부, 12개국 33개 과제
미국·독일·일본 기관 참여
4개 글로벌 혁신특구가 국제공동 연구개발(R&D)을 본격 추진한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는 “4개 글로벌 혁신특구 특구사업자들이 12개국 29개 기관과 함께 33개 국제공동 R&D 과제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
4개 글로벌 혁신특구는 △전남 직류산업 △충북 첨단재생바이오 △강원 인공지능(AI) 헬스케어 △부산 차세대해양모빌리티 특구다. R&D를 공동추진하는 해외 혁신기관은 △독일 프라운호퍼(ISIT) △일본 도쿄의대병원 △미국 존스홉킨스대병원 △영국 스트라스클라이드대학 등이 포함돼 있다.
중기부가 추진하는 이번 사업은 과제당 2년간 4억원, 총 132억원이 투입된다. 규제로 인해 실증이 어렵거나 신기술 분야 기업들이 글로벌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해외 혁신기관과 공동 연구개발을 지원한다.
특구별 주요 해외 협력기관과 R&D 내용을 살펴보면 전남 직류산업 글로벌혁신특구는 독일의 프라운호퍼 ISIT 연구소와 직류 전력변환장치, 차단설비 등 전력 기자재를 개발한다. 직류배전망 운용기술을 실증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직류산업시장을 선점하는 동시에 탄소중립을 위한 세계적인 직류전환 국제표준 제정에 도전할 계획이다.
충북 첨단재생바이오 글로벌혁신특구에서 선정된 8개 기업은 올 9월부터 일본 쇼난 아이파크에 입주해 관절염 세포치료제, 오가노이드 기반 재생치료제, 유도만능줄기세포치료제 등 세포·유전자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도쿄의대병원, 큐슈대학, 아스텔라스 제약회사 등과 연구개발을 추진 중이다. 일본 쇼난 아이파크는 일본의 대표적인 글로벌 바이오클러스터다.
부산 차세대 해양모빌리티 글로벌혁신특구는 영국 조선해양공학 분야 1위이자 친환경 선박 분야에 특화된 스트라스클라이드대학과 지능형 선박 탄소관리플랫폼 실증, 자율운항선박 원격제어 의사결정 지원시스템 개발 등을 추진한다. 차세대 친환경·자율주행 선박기술 선점하기 위해서다.
강원 AI 헬스케어 글로벌혁신특구는 에스토니아 타르투대학과 클라우드 기반 뇌출혈 비대면 협진플랫폼을 구축한다. 미국 존스홉킨스대병원과 어지럼증 진단검사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등 AI 헬스케어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한다.
중기부는 “글로벌혁신특구는 간접비 등 부담완화와 법률자문을 통한 지식재산(IP)보호 등 특구 내 기업들이 국제공동 R&D를 추진하는데 있어 실효성 있는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김형수 기자 hskim@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