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미국서 2년 연속 ‘톱4’
1~3위는 GM 도요타 포드
올해 전기차 세액공제 포함
현대차그룹이 지난해 미국시장에서 역대 최다판매를 기록하며 ‘톱4’ 자리를 지켰다.
5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현대차(제네시스 포함)와 기아가 2024년 미국에서 170만8293대를 판매해 전년보다 3.4% 증가했다. 기존 최다판매 기록이던 2023년(165만2821대)보다 5만대 이상 더 팔았다. 현대차·기아 합산 연간 미국 판매량이 170만대를 넘어서기는 처음이다.

현대차는 4.8% 상승한 91만1805대, 기아는 1.8% 증가한 79만6488대를 각각 미국시장에서 판매했다. 제네시스는 8.4% 늘어난 7만5003대를 팔았다.
현대차·기아 실적은 레저용 차량(RV)과 친환경차 판매 호조가 이끌었다. 현대차 스포츠유틸리티차(SUV) 팰리세이드는 역대 최다인 11만55대(23%↑) 팔렸다. 전기차 아이오닉5도 4만4400대(31%↑) 판매돼 최다 기록을 경신했다.
기아는 6개 차종이 연간 최다판매 기록을 새롭게 썼다. EV9은 2만2017대 팔리며 판매량이 1869% 증가했다. 스포티지는 16만1917대(15% 증가), 카니발은 4만9726대(14%) K3·K4는 13만9778대(13%), EV6는 2만1715대(6%), 텔루라이드는 11만5504대(4%)로 모두 역대 최다 판매량을 기록했다.
현대차의 ‘톱3’ 모델은 투싼(20만6126대), 아반떼(13만6698대), 싼타페(11만9010대)로 조사됐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미국시장 자동차 판매에서 2023년에 이어 두 번째로 4위를 유지했다.
주요 완성차업체가 공개한 지난해 연간 판매량을 보면 GM이 268만9346대로 1위였고, 도요타가 233만2623대로 3위, 포드가 206만5161대로 3위였다.
현대차그룹에 이어 혼다 142만3857대, 닛산-미쓰비시 103만3851대, 스바루 66만7725대, 폭스바겐 37만9178대 순이었다. 추후 혼다와 닛산-미쓰비시가 합병할 경우 미국내 자동차 판매량 순위에 변화가 예상된다.
현대차 관계자는 “글로벌 불확실성과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규제 등에도 RV와 친환경차 판매에 힘입어 현지시장에서 선방했다”고 말했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미국 전기차 보조금(세액공제) 제도의 축소 혹은 폐지를 예고한 가운데 미국 전기차 세액공제 대상이 40개에서 25개 차종으로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로 차종이 추가된 완성차업체는 현대차그룹이 유일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에는 현대차, 기아. 제네시스 모두 보조금 수령 대상이 아니었지만 이번에 3개 브랜드 모두 대상이 되면서 처음으로 리스트에 이름을 올렸다.
차종별로는 현대차 아이오닉5·아이오닉9, 기아 EV6·EV9, 제네시스 GV70 등 5종이 추가됐다. 이들은 인플레이션감축법( IRA)의 배터리와 핵심광물 요건을 충족해 7500달러의 보조금을 수령하게 된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말부터 미국 조지아주에서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와 기아 조지아공장에서 전기차를 생산하고 있다.
이재호 기자 jhlee@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