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화 탄압 상징 ‘백골단’ 등장, 시민단체 비판
강경대추모사업회·민변 특위, “반공청년단 해제” 촉구
“독재·폭력 옹호, 헌법정신 부정”··· 국힘 회견 주선 사과
윤석열 대통령 체포를 앞장서서 막겠다는 일명 ‘백골단’이 등장하자 시민사회단체가 즉각 비판하고 나섰다.
강경대열사추모사업회는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내란수괴 윤석열 보호를 위한 백골단 부활이 왠 말이냐”며 “반공청년단을 즉각 해체하고 이에 동조한 김민전 국민의힘 의원은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추모사업회 회원들은 회견에서 “민주화 탄압과 폭력의 상징인 백골단을 부활시키겠다며 국회에서 당당히 기자회견을 진행한 것에 경악을 금치 않을 수 없다”며 “내란수괴 윤석열을 비호하는 내란 동조 행위를 중단하라”밝혔다. 이어 “반민주적·폭력적 단체를 즉각 해체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강경대 열사의 아버지 강민조씨(전국민주화운동 유가족협의회장)도 “1991년 백골단에 의해 사랑하는 아들을 잃었고, 34년 동안 슬픔 속에 살고 있다”면서 “백골단을 부활시키려 한다는 사실에 두려움과 분노로 참기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다”고 밝혔다. 강씨는 “국민을 위협하기 위해 하얀 철모를 쓰고 나왔는지 모르겠지만 우리 가족이 직접 한남동으로 가서 백골단을 막겠다”고 말했다.
고 강경대씨는 1991년 4월 명지대 1학년으로 학원자주화 투쟁에 참여했다가 백골단이 휘두른 쇠파이프에 맞아 숨을 거뒀다. 이를 계기로 당시 노태우정권을 향한 국민적 저항이 촉발된 바 있다.
앞서 윤 대통령을 지지하는 반공청년단은 지난 9일 국회에서 출범 기자회견을 열고 하부 조직으로 백골단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 회견은 김 의원 주선으로 개최됐다.
회견에 이들은 하얀 헬멧을 쓰고 나와 “국론 분열을 초래한 졸속 탄핵 절차에 우려를 표한다”며 “대한민국을 지키고 헌정질서 수호를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회견이 있자 사회단체는 반발했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윤석열 퇴진 특별위원회는 10일 성명을 내고 “백골단은 1980~90년대 일반적인 전·의경과는 달리 가벼운 복장으로 달려들어 폭력으로 시위대를 검거하던 것으로 악명이 높았다”며 “많은 사람의 피로 어렵게 사라지게 된 단체의 명칭을 사용하는 행위는 즉각 중단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윤석열에 대한 체포 영장 집행을 방해하려는 계획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1500여개 사회단체가 모인 윤석열 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도 9일 입장을 내고 “현대사에 백골단이라 일컬어진 이들이 벌여온 악행을 생각한다면 경악을 금할 수 없다”며 “윤석열을 지키기 위해 백골단을 앞세운 것은 피해자들을 모욕하는 것이다. 독재와 폭력을 옹호함으로써 헌법정신을 부정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시민들 반발이 있자 국민의힘은 10일 논평을 내고 “김 의원이 윤 대통령 체포 반대 집회를 벌였던 백골단(반공청년단)을 국회로 불러 기자회견을 주선한 것에 대해 사과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당 차원의 징계 입장은 밝히지 않았다. 김 의원도 9일 오후 페이스북을 통해 기자회견 주선과 관련해 사과의 입장을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