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무궤도 차량시스템 도입 속도

2025-01-16 13:00:38 게재

올해말 시범사업 개통 예정

정부 신교통수단으로 관심

대전시가 추진하고 있는 무궤도 차량시스템 도입이 속도를 내고 있다. 무궤도 차량시스템은 여러 대의 버스를 하나로 연결해 도시철도처럼 운행하는 신교통수단이다.

호주 브리즈번 무궤도 차량시스템

16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는 올해 말 무궤도 차량시스템 시범 운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일단 정부의 반응은 긍정적이다.

해당 사업은 최근 국토교통부의 모빌리티 혁신위원회 규제 실증특례 심의를 통과했다. 법·제도가 없더라도 일정 기간 무궤도 차량시스템의 시범사업을 허가했다는 의미다. 단적인 예로 여러 대의 버스를 연결해 운행하는 무궤도 차량시스템의 길이는 32m로 국내 차량 최대 길이 규격인 19m를 훌쩍 뛰어 넘는다. 일반적인 국내버스는 11m 안팎이다.

지난해 12월엔 기획재정부의 ‘기업·지역 투자활성화 방안’ 유망분야 투자지원과제에 선정되기도 했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강희업 위원장은 “신교통수단 시범사업이 성공적으로 안착한다면 녹색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대안이 될 것”이라며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기술적으로도 문제는 없다. 이미 프랑스 아랍에미리트 호주 중국 등에서 운행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저비용 고효율, 환경성 등이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이 같은 낙관적인 전망에도 해결해야 할 과제는 많다. 일단 국내에선 아직 무궤도 차량에 대한 기술이 부족해 해당 버스를 전량 수입해야 한다. 무궤도 차량시스템은 3개 차량을 연결한다. 해당 시스템의 기술은 버스가 회전을 할 때 회전반경을 15m 이내로 들어오게 하는 게 핵심이다. 국내에선 세종 등 일부 지역에서 2개 차량을 연결해 운행하는 수준이다. 이 때문에 해당 차량을 수입할 경우 국내 차량 안전 기준 등을 통과해야 한다.

도로도 문제다. 대전시는 일단 시범사업을 간선급행버스체계(BRT)를 운행하는 전용차로에서 실시한다. 도로에서는 안전 등 일부 사안을 보완해야 한다. 버스승강장도 현재의 1대 기준에서 3대를 기준으로 바꿔야 한다. 이를 위해 이달 중 전문가 등을 포함한 특별팀(TF)을 구성할 예정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도로에 대한 공사는 하반기에 진행할 계획”이라며 “버스 도입 등 물리적 시간이 만만치 않지만 하반기 개통을 목표로 속도를 낼 예정”이라고 말했다.

대전시 무궤도 차량시스템 시범사업 구간은 유성구 충남대부터 서구 정림삼거리까지 7.8㎞다. 무궤도 차량시스템은 전기버스로 궤도 설치 없이 기존 도로 활용이 가능한 만큼 지상트램 대비 건설비는 40%, 운영비는 65% 수준이다.

윤여운 기자 yuyoon@naeil.com

윤여운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