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아연, ‘집중투표제 도입 안건’은 통과 가능성↑

2025-01-21 21:12:49 게재

이사 선임 안건만 다음 기회로

법원이 21일 고려아연 임시주총과 관련해 집중투표제가 도입됐을 경우 이를 근거로 이사를 뽑는 2호 안건, 즉 ‘의안상정금지 등 가처분’ 신청에 대해 일부 인용 및 일부 기각 결정을 내렸다.

이에 따라 집중투표제를 통과시킨 뒤 이를 적용해 이사를 선임하려던 고려아연 측의 계획이 차질을 빚게 된 반면, MBK와 영풍 측은 유리한 입장에 서게됐다.

일단 고려아연 측은 집중투표제 자체를 도입하는 1-1호 안건은 아무 문제가 없는만큼 표결을 통해 ‘집중투표제 도입 안건’을 통과시킨다는 계획이다. 집중투표제 도입안건은 국민연금을 비롯해 의결권 자문사의 70% 가량이 찬성을 권고했고, 소액주주단체들도 지지를 표명하면서 통과 가능성이 상당하다는 것이 고려아연 측의 설명이다.

회사 측은 또 집중투표제 도입 안건인 1-1호 안건이 가결될 경우 이번 임시주총이 아닌 다음 주총부터 집중투표제를 통한 신규 이사 선임이 가능한만큼 이에 맞춰 임시주총 및 정기주총을 준비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MBK와 영풍 측은 “법원의 결정으로 고려아연 거버넌스 개혁에 신호탄이 쏘아졌다”며 “23일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이사회의 개편과 집행임원제도의 도입 등 실질적인 고려아연 지배구조 개선이 시작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남아있는 쟁점은 과연 MBK와 영풍 측이 추천한 이사 중 얼마나 과반의 찬성을 받아 이사회에 진입할 수 있느냐 여부이다.

국민연금 등 캐스팅보트를 쥐고 있는 제3의 주주들이 MBK와 영풍 측이 추천한 이사 일부만 찬성을 권고했고, 특히 ISS는 4명만을, 글래스루이스는 전원에 대해 전부 반대하면서 과반을 확보할 수 있는 인사가 제한적인 가능성이 상당하다.

이렇게 되면 14명 모두를 이사회에 진입시켜 고려아연의 이사회를 장악하려던 MBK와 영풍 측의 계획도 상당부분 차질을 빚을 수 밖에 없다. 막판까지 판세를 알 수 없는 상황이 이어지는 가운데, 1월 23일 고려아연 임시주주총회에서 그 윤곽이 드러날 전망이다.

정석용 기자 syjung@naeil.com
정석용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