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대선 열리면 국민의힘이 풀어야 할 3가지 숙제
강성보수층 이탈·보수 분열·계엄옹호당 낙인
강성보수, 탄핵 인정 안하고 대선 보이콧 가능성
찬탄파-반탄파 충돌 우려 … 이준석 출마도 변수
계엄 비판해야 중도확장 가능 … “윤석열 버려야”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이 막바지로 접어들었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탄핵이 인용되면 60일 이내에 조기 대선이 열린다.

계엄·탄핵 정국이란 악조건 속에서 국민의힘이 재집권을 쟁취해내기 위해선 3가지 숙제를 풀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강성보수의 이탈과 보수 분열, 계엄옹호당 낙인을 극복해야 한다는 것이다.
13일 헌법재판소는 윤 대통령 탄핵 심판의 8차 변론을 열었다. 이날 이후 추가 기일은 없는 상태다.
탄핵 심판이 막바지로 치닫고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대목이다. 조만간 이뤄질 선고를 통해 탄핵이 인용될 경우 60일 이내에 조기 대선이 실시된다. 대선까지 남은 시간이 많지 않다는 얘기다.
국민의힘은 당이 배출한 대통령이 탄핵을 당한 상황에서 국민에게 표를 호소해야 하는 난감한 입장에 놓이게 된다.
2017년 박근혜 탄핵 직후 치러진 조기 대선에서 당시 여당 자유한국당은 참패했다. 국민의힘이 악조건을 뚫고 재집권에 성공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 여권 내에서는 3가지 숙제를 풀어야 한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되는 모습이다.
우선 강성보수층의 이탈을 막아야 한다는 주문이다. 강성보수층은 윤 대통령 탄핵을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주말마다 전국 곳곳에서 열리는 탄핵 반대 집회에는 수 만 명이 운집해 ‘탄핵 기각’을 외치고 있다. 이들은 헌법재판소가 탄핵 인용 결정을 내릴 경우 이를 인정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연장선상에서 조기 대선도 외면할 것이란 추측이 나온다.
여권 인사는 “탄핵이 인용되면 보수층의 박탈감은 엄청날 것”이라며 “탄핵과 조기 대선을 인정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특히 탄핵에 찬성한 사람이 후보가 되면 대선을 아예 보이콧할 수 있다”고 전했다.
탄핵이 인용되면 여권 내 찬탄파(탄핵 찬성파)와 반탄파(탄핵 반대파)가 서로에게 책임을 물으며 격하게 충돌할 수 있다.
반탄파는 “배신자(찬탄파) 때문에 윤 대통령이 탄핵 됐다. 배신자들을 당에서 쫓아내야 한다”고 공격할 수 있다.
찬탄파와 반탄파가 충돌하다가 자칫 극단적 분열로까지 치달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2017년 박근혜 탄핵 당시 여당은 탄핵 책임 공방 끝에 분당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의 독자출마도 변수다. 이 의원은 조기 대선에 개혁신당 공천으로 출마할 뜻을 비치고 있다. 국민의힘 출신인 이 의원이 출마하면 여당 지지세가 강한 20·30대 남성표를 잠식할 수 있다.
다른 여당 관계자는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이 의원을 러닝메이트로 껴안으면 시너지를 낼 수 있다. 각자 출마하면 큰 손실이 날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의힘이 계엄을 옹호하고 탄핵에 반대하는 듯 한 모습으로 비쳐지는 것도 조기 대선을 치르는 데는 결정적 악재라는 지적이다. 탄핵 찬성 비율이 높은 중도층이 국민의힘에게 마음을 열지 않을 것이란 우려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12일 YTN 라디오 ‘뉴스파이팅’에 출연해 “우리 당이 계엄 옹호당이 된다면 나중에 대선이 열리면 굉장히 치명적”이라며 “계엄옹호당이라는 이미지에서 벗어나야만 다음 대선에서 승산이 있다”고 말했다.
결국 계엄옹호당 낙인에서 벗어나려면 “윤 대통령을 버려야 한다”는 지적이다. 찬탄파 대선후보가 공개적으로 계엄 선포를 비판하고 탄핵 찬성을 밝히면서 윤 대통령과 확실히 선 긋기 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다른 여권 인사는 “조기 대선이 열리면 윤 대통령과는 완전히 단절해야 한다. 그때도 윤 대통령에 연연하면 1대1 대선 구도에서 절대 이길 수 없다”고 말했다.
엄경용 기자 rabbit@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