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2개월째 2%대 상승…불안한 장바구니물가
2월 물가 2.0% 올라 … 1월보다 상승폭은 줄어
석유류 6.3% 인상 “고환율에 유류세 인하폭 축소”
생활물가 2.6% 올라 … 가공식품은 2.9% 급상승
소비자물가가 2개월 연속 2%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채소와 석유류 등 서민과 직결된 생활물가는 더 올랐다.
6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 지수는 116.08(2020=100)로 1년 전보다 2.0% 상승했다. 전월(2.2%)보다 상승폭은 축소됐지만, 2%대를 이어갔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초 3%대에서 점차 하락하기 시작해 하반기에는 9월(1.6%), 10월(1.3%), 11월(1.5%), 12월(1.9%) 4개월 연속 1%대를 기록했다. 하지만 12·3 내란사태와 미국의 신 행정부 출범으로 환율이 급등하면서 올해 들어서는 다시 2%대로 올라섰다.

◆내란사태에 고환율 겹쳐 = 품목별로 보면 석유류 가격이 6.3% 상승하며 물가 상승을 견인했다. 1년 전보다 환율이 크게 오르고, 유휴세 인하폭이 축소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휘발유(7.3%), 경유(5.3%) 등이 큰 폭의 오름세를 나타냈다. 다만 상승폭은 전월(7.3%)보다 줄었다.
또 공업제품 중 가공식품도 2.9%가 상승하며 전체 물가 상승률을 웃돌았다. 2024년 1월(3.2%)이후 13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이다. 최근 가공식품 업계에서 잇달아 제품 가격을 올린 영향으로 풀이된다.
통계청 관계자는 “빵, 커피, 김치, 비스킷, 주스 등 가공식품 출고가 인상이 순차적으로 반영되면서 물가도 가격이 순차적으로 상승한 부분이 반영됐다”고 말했다.
전기·가스·수도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1% 올랐다. 도시가스(6.9%), 지역난방비(9.8%), 상수도료(3.7%)는 상승했고 전기료(-0.4%)는 하락했다.
농축수산물은 1.0%의 상승률을 보였다. 농산물은 1.2%가 떨어졌지만, 축산물(3.8%), 수산물(3.6%) 등이 크게 오르면서다. 채소류 중에서는 배추(65.3%), 무(89.2%), 당근(59.6%) 등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였고, 파(-31.1%), 토마토(-19.5%) 등은 가격이 떨어졌다.
◆신선과실값은 안정세 = 지난해 고물가의 주범으로 꼽혔던 신선 과실은 5.4%나 떨어졌다. 지난해 사과·배 등 과일가격이 큰 폭으로 올랐던 기저효과 등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품목별로는 딸기(-6.9%), 감(-27.7%), 바나나(-11.4%) 등이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하지만 돼지고기(7.6%), 배추(65.3%), 귤(15.5%), 무(89.2%), 배(21.9%), 당근(59.6%) 등은 여전히 불안한 가격 흐름을 보였다.
다만 과일 가격은 떨어지며 전체 신선식품도 1.4% 하락했다. 2022년 3월(-2.1%) 이후 35개월 만에 하락 전환이다.
서비스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했다. 집세(0.7%)와 공공서비스(0.8%) 가격은 크게 오르지 않았지만 개인서비스(3.0%) 비교적 크게 올랐다. 외식(3.0%)과 외식 제외(2.9%) 가격이 모두 상승했다.
반면 장바구니 물가지수로 꼽히는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2.6%로 전체 물가 상승률을 웃돌았다. 지난해 7월(3.0%) 이후 최대 상승폭이다. 석유류 등의 가중치가 더 크게 반영된 영향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8% 상승했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1.9% 올랐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 역시 1.9% 오르면서 1월(2.0%)보다 소폭 둔화했다.
성홍식 기자
king@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