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부토건 회생 개시…“주가조작 조사”
법원 “자금 유동성 악화로 위기”
금감원, 대주주·경영진 조사 중
주가조작 의혹을 받고 있는 삼부토건의 회생절차가 개시됐다. 삼부토건은 시공능력 평가 71위의 중견 건설사로, 지난해 3분기 기준 영업손실은 268억원, 매출은 643억원으로 50% 감소했다. 삼부토건은 지난달 25일 회생 신청했고, 2015년에 이어 10년 만에 다시 법원의 관리를 받게됐다.
7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회생법원 회생합의3부(재판장 정준영 법원장)는 6일 삼부토건의 회생절차 개시 결정했다. 조사위원은 안진회계법인으로 선정했고, 회생계획안은 오는 7월 17일까지 제출하도록 했다.
재판부는 “원자재 가격의 급격한 상승, 건설경기 침체로 인한 공사대금 및 시행사 대여금 미회수 급증 등으로 자금 유동성이 악화됐다”며 재무 위기 배경을 설명했다.
법원은 회생 절차 개시 결정을 하면서 관리인을 따로 선임하지 않기로 했다. 이에 따라 현재 대표자가 관리인으로 간주돼 현 임원진이 회생 절차 중에도 그대로 회사를 경영하게 된다.
삼부토건은 오는 27일까지 채권자 목록을 작성해 제출해야 한다. 채권자들은 4월 17일까지 법원에 채권자 신고를 해야 하는데 회사가 작성한 채권자 목록에 포함된 경우 별도의 채권자 신고를 하지 않아도 된다.
삼부토건이 회생계획안을 제출하면 이를 검토한 법원은 회생 인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회생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한다면 파산하게 된다.
앞서 삼부토건은 2023년 5월 폴란드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글로벌 재건 포럼’ 참석을 계기로 지난해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주로 주목받은 뒤 1000원대였던 주가가 장중 한때 5500원까지 급등하면서 주가 조작 의혹이 제기됐고, 회계법인으로부터 지난해 상반기 연결재무제표에 대한 감사 의견거절을 받았다. 이에 따라 한국거래소는 ‘관리종목’으로 지정하고 한동안 주식 매매를 정지했다.
삼부토건 주가조작 사건의 실체가 드러나면서 윤석열 대통령의 배우자 김건희 전 코바나 대표의 ‘주가 조작 연루 의혹’에 다시 관심이 쏠린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5일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과 관련해 “일부 이해관계자들의 100억원대 이익 실현이 있었다는 것은 부인하기 어렵다”며 “광범위한 자금 확인과 계좌 간의 연계성 등 분석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금감원은 한국거래소로부터 삼부토건 주가조작에 대한 이상 거래 심리 결과를 넘겨받아 지난해 9월부터 삼부토건 대주주 일가와 경영진의 주가조작 의혹 건과 관련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전날 삼부토건 의혹을 포함시킨 김건희 특검법과 상설특검 수사요구안을 오는 13일 본회의에 ‘마약 수사 특검법’, 상법개정안과 함께 상정하겠다는 입장이다. 민주당은 “삼부토건 주가조작과 관련해 김건희 여사의 계좌관리인이었던 이종호씨의 연루 의혹은 이미 제기된 바 있다.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에서도 등장했던 이종호씨가 삼부토건 사건에서도 핵심 인물로 지목된 것은 단순한 우연이 아니다. 이제는 개별 사건이 아니라 조직적인 주가조작의 실체를 밝혀야 할 때”라고 주장했다.
반면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민주당의 ‘삼부토건 상설특검’ 도입 주장에 대해 “금융감독원이 열심히 조사한 끝에 그런 혐의를 포착했다면 금감원이 좀 더 조사하게 하고 거기에 대응하는 기관인 검찰이 수사하게 하면 된다”며 “무작정 특검을 도입하는 것이 능사가 아니다”라고 맞섰다. 그러면서 “특검은 오히려 시간 낭비고 노력 낭비고 비용 낭비”라며 “일단 금감원과 검찰에 맡겨 수사 결과를 지켜보고 특검 도입 여부는 그때 가서 신중하게 결정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서원호 기자 os@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