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시 “군사훈련 중단…전면적 피해보상”
공군 전투기 오폭 피해…정부대책 촉구
지역주민들 “죽을 뻔했다” 불안감 호소
6일 한미연합훈련 전투기 오폭 사고와 관련해 경기 포천시는 군사훈련 중단 및 재발방지 대책, 전면적인 피해보상을 정부에 요구했다. 경기도는 긴급생활안정비 지급 등 피해자들의 빠른 일상회복이 되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백영현 포천시장은 이날 오후 2시쯤 사고현장에서 브리핑을 열고 “한미연합 사격훈련 중 폭탄이 민가에 떨어져 무고한 시민들이 중경상을 입고 가옥과 차량이 파손되는 끔찍한 사고가 발생했다”며 “정부와 군 당국은 군사훈련을 전면 중단하고 확실한 재발방지 대책 마련과 노곡리 일대 피해보상에 나설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포천시는 이번 사고와 관련 시청에 재난상황 대책본부를 설치하고 군·경찰, 지자체 공무원 등이 참여하는 통합현장지휘소를 설치했다. 노곡2리 경로당에 임시구호소도 마련했다. 백 시장은 현장에서 오후석 경기도 행정2부지사, 이병우 포천소방서장, 군 관계자 등과 대책을 논의했다.
오후석 경기도 행정2부지사는 이날 오후 언론브리핑을 통해 “부상자에 대한 1대 1 매칭 지원을 사고가 완전히 수습될 때까지 진행하겠다”면서 “부상자에 대한 국가 차원의 치료비 지원이 완벽하게 이행될 수 있도록 협조하고 특히 긴급복지법에 따른 긴급생활안정비를 지급하겠다”고 말했다. 또 “군과 소방, 공무원으로 구성된 합동조사단이 피해 현장을 조사하고 있고 긴급안전점검을 통해 숙박이 불가능한 이재민들에게 숙식을 지원했다”며 “내일은 전 가구 대상으로 정밀안전진단을 통해 안전하고 신속한 개보수가 되도록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도가 파악한 핵심 피해지역 가구는 56가구이며 이중 30가구의 주민들은 집에서 숙박이 어려워 콘도 등 별도의 주거를 제공했다. 도는 이날 사고로 충격과 불안에 빠진 주민들을 위해 재난 심리 회복지원센터를 현장에 마련, 심리지원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오 부지사는 “경기북부 주민들은 지난 75년 동안 국가안보를 위해 희생하고 있다”면서 “오늘처럼 불행한 사고가 재발되지 않도록 군에서 유사 훈련 시 주민 안전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는 국가 차원의 대책을 마련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오전 10시 5분쯤 포천시 이동면 노곡리 921-2번지 일대에 한미연합훈련 중인 전투기에서 비정상적으로 폭탄이 투하됐다. 이 사고로 15명이 다쳤다. 소방 당국은 중상 2명, 경상 13명으로 분류했다. 상수도와 주택 2채, 성당, 트럭, 비닐하우스 파손 등 재산 피해도 났다. 중·경상자는 포천의료원과 우리·성모병원 등으로 분산 배치돼 치료를 받고 있다.
당국은 현장을 통제하며 혹시 남아 있을지 모르는 불발탄 해체 작업을 위해 주민들을 대피시키기도 했으나 떨어진 포탄 8발 중 불발탄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낙탄지에서 떨어진 마을회관으로 대피한 주민들은 “죽을 뻔했다”며 극심한 불안감을 호소했다.
공군은 “비정상 투하 사고로 민간 피해가 발생한 데 대해 송구하게 생각하며 부상자의 조속한 회복을 기원한다”며 “피해배상 등 모든 필요한 조치를 적극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