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트럼프 관세·탄핵심판에 위기 대응체제 가동

2025-04-04 13:00:06 게재

4대 금융지주 회장 직접 나서 변동성 등 점검

하나은행, 관세피해 중기에 6조원 자금 공급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폭탄’이 현실화되면서 금융권도 바쁘게 움직이기 시작했다. 4대 금융지주사 회장이 직접 나서 위기관리 상황을 직접 점검하고 총력대응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관세 부과로 수출 등에 타격을 받는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도 나오기 시작했다.

금융권에 따르면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은 4일 긴급 임원회의를 소집했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이 발동한 상호관세와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등에 따른 변동성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양 회장이 직접 주재하는 이날 회의에서는 시장 불확실성에 대비한 자금시장 동향 및 환율 변동성 추이 등을 실시간으로 점검했다.

KB금융 관계자는 “대내외 변동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등이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유동성 공급에 충실할 것”이라며 “금융취약계층으로 위험이 전이될 가능성에 대비해 다양한 금융지원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신한금융도 진옥동 회장을 중심으로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신한금융은 4일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과 전날 있었던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 발표에 대응해 이날 그룹 및 계열사 차원의 긴급회의를 개최한다. 국내외 정세 변동과 이에 따른 환율 변동성이 우려되면서 외환 및 자금시장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면서 취약부문에 대한 대책과 지원 등을 논의한다는 방침이다.

하나금융지주는 3일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대책을 발표했다. 하나금융은 이날 하나은행을 중심으로 미국의 관세 부과로 수출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을 총 6조원 이상까지 확대하기로 결정했다. 특히 관세 조치로 큰 피해가 예상되는 자동차 부품업체 등에는 운전자금을 지원한다.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은 3일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 시행으로 어려움이 예상되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경영안정화를 위해 다양한 금융프로그램을 확대 시행할 것”이라며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현재의 위기상황을 잘 극복해 나갈 수 있도록 선제적으로 그룹의 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주요 금융지주사와 시중은행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이 동시에 겹치면서 외환시장 변동성 등을 주시하고 있다. 금융그룹사 등은 최고경영자가 직접 나서 변동성에 대비한 긴급대응체제를 가동하고 있다. 사진은 주요 시중은행 로고 모습. 사진 각 은행 제공

하나은행은 또 소상공인 금융부담 완화를 위해 3000억원의 신규 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최대 1.9%p 우대금리를 적용해 지역신용보증재단 추가 출연을 통해 대출 공급에도 차질이 없도록 했다.

KB국민은행도 올해 초부터 일정 수준 이상의 수출입 실적을 가진 기업을 대상으로 수출보증과 보험료를 100% 지원하고, 외국환 수수료 및 대출금리 우대 등의 금융지원을 하고 있는데 상황에 따라 이를 더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우리금융그룹도 이날 긴급회의 개최를 검토하고 있고, 우리은행은 위기대응협의회에서 환율 수준별 관리방안을 수립해 대응하고 있다.

NH농협은행도 미국의 관세정책에 따른 환율 변동성 등을 중심으로 모니터링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NH농협 은행관계자는 “외화유동성커버리지(LCR) 비율이 권고기준을 웃돌고 있어 아직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며 “추가 상승을 대비해 외화자금 유동성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백만호 기자 hopebaik@naeil.com

백만호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