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미 국채 매각, 협상 카드 아니다”
미와 양자 무역협상 앞두고
자민당 정조회장 공개 발언
미국 국채 시장이 흔들리고 있다는 우려 속에 일본이 ‘미국 국채를 협상 카드로 쓰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일본 집권 자민당의 오노데라 이쓰노리 정무조사회장(한국의 정책위의장격)은 13일 NHK 방송 인터뷰에서 “일본은 미국의 동맹국”이라며 대미 관세 협상에서 국채 매각을 압박 수단으로 활용할 가능성을 일축했다.
오노데라 정조회장은 “일본은 고의적으로 미국 국채와 관련한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것”이라며 “시장을 혼란스럽게 하는 것은 결코 좋은 생각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는 민주당 등 야당 의원들이 미국 국채 보유를 무역 협상의 지렛대로 삼자고 주장한 것에 정면으로 반대한 발언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 여파로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지난주 0.5%포인트 급등했다. 이는 2001년 11월 이후 최대 상승폭이었다. 오노데라 회장의 발언은 미국 국채가 더 이상 안전자산이 아니라는 시장의 인식이 번지는 시점에 나왔다.
일부 투자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에 대응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요 채권 보유국들이 미국 국채 매각을 단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일본과 중국은 세계 최대 규모의 미 국채 보유국이다. 지난 2월 기준 일본의 보유량은 1조1680억달러로 세계 1위, 중국은 약 7590억달러로 뒤를 잇고 있다.
한편 이번 주 예정된 미·일 양자 무역협상에서는 통화정책이 주요 의제로 떠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로이터통신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 측이 일본에 대해 엔화 절상을 압박할 가능성이 있으며, 일본은행(BOJ)의 완만한 금리인상 속도에 대한 불만도 협상 테이블에 오를 수 있다고 보도했다.
이번 협상에서 일본 측 수석대표는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이 맡으며, 그는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과 오는 17일 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일본은 미국의 핵심 동맹국임에도 24%의 상호관세가 부과된 상태다. 특히 일본의 대표 산업인 자동차에는 25%의 관세가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본은 관세 면제 또는 예외 적용을 요구하고 있으며, 미국은 이에 맞서 농산물 및 액화천연가스(LNG)에 대한 시장 개방을 압박하고 있다.
오노데라 회장은 이와 관련해 “세계무역기구(WTO)에 문제를 제기해야 한다”고 밝히면서, 아시아 이웃 국가들 역시 일본과 마찬가지로 높은 관세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일본은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과의 협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주영 기자 123@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