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내 불균형 해소하고 정주환경 개선
금천구 대규모 개발사업
87만㎡ 작은 신도시 규모
서울 금천구가 지역 내 불균형을 해소하고 정주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대규모 개발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금천구는 현재 총 87만㎡ 규모로 재개발·재건축과 모아타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24일 밝혔다.
각종 개발사업이 마무리되면 1만9000여세대가 거주할 수 있는 주택이 공급된다. 금천구 전체 인구 23만명과 비교하면 20%에 달한다. 단일 행정구역 내에 작은 신도시가 조성되는 셈이다. 구는 특히 상대적으로 개발이 미진했던 동측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을 방침이다.
재개발 사업은 시흥1동 시흥4동 독산2동 일대에서 신속통합기획을 중심으로 추진 중이다. 시흥1구역과 독산시흥구역은 각각 2024년 7월과 2025년 1월 정비구역으로 지정됐다. 현재 조합 설립 등 후속절차가 진행 중이다. 독산동 1036번지와 1072번지, 시흥4동 4번지 일대 등 5개 지역에서 약 42만5000㎡ 규모 재개발이 본격화되고 있다.
모아타운은 시흥동을 중심으로 6곳에서 진행된다. 42만4000㎡ 규모다. 시흥1동 1005번지와 시흥4동 817번지 일대 등 5개 지역이 관리지역으로 지정돼 있다. 지난해 12월에는 시흥3동 972번지 일대 주민들이 모아타운 제안을 접수했다. 관리계획 승인되면 모아타운 관리지역으로 지정된다.

신안산선 개통은 신독산역과 시흥사거리역 일대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구는 역세권 활성화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주거 상업 업무 기능이 복합된 ‘직주근접형 기능집약도시(콤팩트시티)’ 조성을 목표로 한다. 신독산역 인근 독산동 1030-1 일대는 용도지역을 일반상업지역으로 상향해 복합개발이 추진 중이다. 시흥사거리역과 가까운 시흥동 903-4 일대는 근린상업지역으로 용도를 상향했다.
40년간 운영돼 온 중앙철재상가 정비사업도 본격화된다. 구는 대상지 약 4만㎡ 규모를 주거 판매 주민편의시설이 어우러진 복문화공간으로 재편할 계획이다. 올해 안에 사업계획이 승인되면 2030년까지 개발을 마무리하게 된다.
유성훈 금천구청장은 “지역간 불균형 해소는 금천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핵심 과제”라며 “정비사업과 역세권 개발을 통해 동측 지역의 정주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누구나 살고 싶은 ‘좋은 도시 금천’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