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실질GDP 성장률 -0.2%

2025-04-24 00:00:00 게재

작년 2분기 이후 정체·후퇴

소비 투자 수출 모두 역성장

올해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후퇴했다. 지난해 2분기 이후 사실상 1년간 성장세가 멈췄다. 안팎의 경제 환경이 불확실한 가운데 이대로 가면 연간 성장률도 전망치를 크게 밑돌 것이라는 예상이다.

24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2025년 1/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 설명회가 열리고 있다. 왼쪽부터 이현영 지출국민소득팀장, 이동원 경제통계2국장, 박창현 국민소득총괄팀장, 김다애 국민소득총괄팀 과장.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2025년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치)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실질GDP 성장률은 지난해 4분기 대비 마이너스 0.2%로 집계됐다.

한은이 당초 전망했던 1분기 성장률(0.2%) 전망치에서 -0.4%p나 낮은 수준이다. 한은은 지난 2월 올해 연간 성장률 전망치를 1.5%로 예상했는데 다음달 수정 전망에서 대폭 하향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다.

전분기 대비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보인 것은 지난해 2분기(-0.2%) 이후 3분기 만이다. 지난해 3분기(0.1%)와 4분기(0.1%) 성장률을 고려하면 사실상 1년째 성장세가 멈췄거나 후퇴한 셈이다. 한은은 1분기 성장률이 지난해 1분기에 비해 0.1% 감소했다고 했다.

성장을 떠받치는 세 축인 소비와 투자, 수출이 동시 후퇴하는 ‘트리플 역성장’이 특히 문제다. 민간소비(-0.1%)와 정부소비(-0.1%) 모두 감소했고, 건설투자(-3.2%)와 설비투자(-2.1%)도 줄었다. 수출(-1.1%)과 수입(-2.0%)도 후퇴했다. GDP 지출에서 모든 부문이 동시에 마이너스를 보인 것은 2008년 4분기 이후 사실상 처음이다.

한은은 “오락문화와 의료 등 민간소비와 정부소비가 동시에 줄었고, 안팎의 경기 불확실성으로 설비와 건설투자도 감소했다”며 “수출도 화학제품과 기계 및 장비 등을 중심으로 줄었다”고 설명했다.

이에 앞서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17일 기자회견에서 △산불 피해와 일부 건설공사 중단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장기화 △미국 관세정책 등에 따른 경제심리 위축 등을 들어 1분기 성장률이 후퇴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한편 1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전분기 대비 0.4% 감소했다. 실질GDI는 실질GDP에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무역손익을 포함한다. 교역조건이 나빠져 생산에 비해 소득은 더 많이 줄었다는 의미다.

백만호 기자 hopebaik@naeil.com

백만호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