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안하는 중국 청년들…지방정부 ‘보상금’ 내걸어

2025-04-29 13:00:02 게재

2025년 1분기 전년비 8% 감소

지난해 20% 감소 후 하락세 지속

보상금, 등록 간소화 등 대책 강구

올해 1분기 중국의 혼인건수가 전년 동기 대비 8% 감소했다. 지난해 큰 폭으로 감소한 이후 혼인율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는 것. 중국 지방정부들은 결혼한 부부에게 ‘현금 보상’이라는 특단의 대책을 내놓고 있으며, 중앙정부도 혼인 신고 규정을 간소화하는 등 인구 감소를 막기 위해 방안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28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중국의 혼인 신고가 올해 1분기에도 계속 감소하자 지방 정부들이 젊은 부부들에게 최대 4만위안(한화 약 791만원)의 현금 보상을 내걸었다고 보도했다.

중국 정부는 올해 1분기에 181만쌍이 혼인신고를 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8% 감소한 수치이다. 같은 기간 이혼 신고 건수는 1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출산 및 인구 감소와 더불어 암울한 결혼 수치는 이미 상당한 어려움에 직면한 중국경제에 우려스러운 신호다.

지난해 중국은 1980년 이후 최저 수준의 신규 혼인 건수를 기록했다. 2024년 중국 결혼 건수는 610만쌍에 불과했는데, 이는 2023년 대비 20.5%나 감소한 것이다.

이러한 추세를 반전시키거나 완화하기 위해 중국 정부는 혼인 신고 규정을 간소화해 5월 10일부터 부부가 거주지로 돌아가지 않고도 혼인 신고를 할 수 있도록 했다. 또 혼인 신고 시 더 이상 호적부를 제출하지 않도록 해 거주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사는 사람들도 수월하게 신고할 수 있게 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완화 조치가 혼인 하락세를 막는 데 어느 정도 도움이 될 수는 있지만 제한적인 효과에 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인구학자 허야푸는 “진짜 장벽은 치솟는 결혼과 육아 비용이다. 많은 젊은이들이 결혼할 여력이 없다”면서 “진정으로 혼인율을 높이려면 정부가 이러한 경제적 부담을 줄여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중국 전역의 지방 정부는 젊은 커플의 결혼을 장려하기 위해 현금 인센티브를 지급하고 있다. 산시성 뤼량에서는 신부가 35세 이하인 미혼 부부가 등록하면 1500위안의 현금 보너스를 지급하고 있다. 광저우의 한 마을에서는 지역 주민 간의 초혼에 대해 부부가 1년 이상 결혼 생활을 유지할 경우 최대 4만위안을 지급한다.

이와 함께 공원, 쇼핑몰, 관광지 및 기타 명소에 혼인신고센터 설치도 늘리고 있다. 허페이의 한 지하철역 내 혼인신고센터는 지난해 초 문을 연 이후 2000쌍 이상의 커플이 등록하는 등 관심을 끌기도 했다. 중국 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 공원 내 혼인신고센터가 270곳 이상 운영되고 있다.

인구 감소를 상쇄하기 위해 출산 지원 정책도 계속 실험하고 있다. 상하이시는 여성 직원의 출산 휴가 기간 동안 고용주의 사회보험료에 대해 50%를 보조하고 있으며, 중앙정부는 전국적인 육아 보조금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박소원 기자 hopepark@naeil.com

박소원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