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륙양용 정찰로봇·자폭드론 개발 지원
민군기술협력사업계획
132개 기술 1134억원 투입
정부가 인공지능(AI) 반도체 로봇 등 차세대 방산기술 개발을 위해 올해 132개 과제에 총 1134억원을 투자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방위사업청은 30일 이러한 내용이 담긴 ‘민군기술협력사업 2025년도 시행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민군기술협력사업은 15개 부처가 참여하는 대표적인 범부처 협력사업으로, 1999년 시작됐다.
정부는 올해 이 사업에 수륙양용 기동정찰로봇, 초소형 자폭드론시스템, 경호 특수차량용 방호소재 등 132개 개발 과제를 지원하기로 했다. 총 사업비는 전년보다 32.3% 증가한 1134억원이다.
특히 AI 반도체 로봇 드론 등 차세대 방산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핵심기술 자립화에 전체 투자 금액의 63.5%(720억원)를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수륙양용 기동정찰로봇은 말 그대로 물 위나 땅 위에서 정세나 지형을 살피는 로봇이고, 자폭드론은 드론을 잡는 드론으로 지근거리에서 충돌하거나 폭발한다.
정부는 민간기술의 국방분야 적용 확대를 위해 ‘첨단 민군 협의체’를 통해 군 소요와 연계할 수 있는 첨단기술 발굴에 나선다. 국방부와 협업해 군의 소요 결정 전이라도 민간 신기술을 신속히 검증할 수 있도록 군 시범운용 체계도 갖춘다.
또 한미간 방산 협력 강화와 수출 지원을 위해 산업계·학계·연구소·군 등이 참여하는 ‘함정 MRO 민군 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했다. 함정 유지·보수·정비(MRO)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과 시험·인증체계 구축을 위한 신규 사업을 발굴한다.
방산 핵심 인재 확보를 위해서는 기계·소재, 전기·전자, 우주항공 등 기반 산업 분야에 연간 600억원을 투자, 2000명 이상의 전문 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국내 방산 기술·부품 수출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산업기술 협력센터’를 거점으로 민군겸용 공동개발 사업을 발굴하고, 해외 국방수요를 기반으로 수출형 차세대 무기체계 부품개발 관련 연구개발(R&D)을 추진한다.
박성택 산업부 1차관은 “첨단화되는 미래 방산 시장을 선도하려면 AI, 드론 등 민간의 첨단 기술과 방위 산업간 융복합을 통한 기술 혁신이 중요하다”며 “방위산업의 수출 전략 산업화를 뒷받침하기 위해 범정부 차원에서 민군 협력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강환석 방사청 차장은 “방위산업 4대 강국 진입을 목표로 민군기술협력사업 관련 정책을 적극 관리·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이재호 기자 jhlee@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