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인도 스리시티에 가전공장 착공
6억달러 투자, 면적 22만㎡
내년말 에어컨부터 생산
LG전자가 인도에 3번째 가전공장을 착공한다. 내년말 에어컨 생산을 시작한다. 인도의 국민 브랜드로 자리잡고 신흥시장 확보를 위한 전략의 일환이다.
LG전자는 8일(현지시간) 인도 안드라프라데시주 스리시티의 가전공장 착공식을 연다. 스리시티 가전공장은 부지 100만㎡, 연면적 22만㎡ 규모로 들어선다. 총 투자 금액은 약 6억달러다. 연간 생산능력은 △냉장고 80만대 △세탁기 85만대 △에어컨 150만대 △에어컨컴프 200만대 수준이다. 2026년 말 에어컨 초도 생산을 시작으로 2029년까지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컴프를 생산할 예정이다.

스리시티공장 건설은 아시아 중남미 중동아프리카 등 ‘글로벌 사우스’로 불리는 신흥시장에서 성장동력을 확보하겠다는 LG전자 지역전략의 일환이다.
인도는 글로벌 사우스의 핵심 국가다. LG전자는 “인도 가전시장에서 ‘국민브랜드’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생산력 강화가 필수적이라는 판단에서 투자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인도시장 내 세탁기와 에어컨 보급률은 각각 30%와 10% 수준으로 성장할 여지가 크다. 특히 프리미엄 가전 수요가 늘어나고 있어 기존 노이다·푸네 공장만으로는 대응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스리시티 가전공장은 인도는 물론 인근 국가에도 가전제품을 더욱 원활히 공급하는 생산기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인도양 해안과 인접해 수출에 유리하다. 인도 북부에 위치한 노이다공장과 중서부의 푸네공장보다 인도 남부지역에 제품을 공급하기 편리한 지리적 여건을 갖췄다. 신공장이 완공되면 면적이 넓은 인도 전역에 제품을 빠르게 공급해 시장대응 역량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생산품목도 인도 내 프리미엄 가전 수요와 인접 국가로의 수출을 고려해 프렌치도어 냉장고, 드럼세탁기 등 고부가가치 제품 위주가 될 전망이다.
LG전자는 더 확대된 생산력을 토대로 현지 생활양식에 최적화한 제품 생산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최근 채식위주 식문화로 넓은 냉장공간을 찾는다는 점을 고려해 냉동실을 냉장실로 바꿀 수 있는 컨버터블 냉장고와, 전통의상 사리(Saree)의 부드러운 옷감에 맞춘 전용코스를 탑재한 세탁기 등을 인도시장에 선보여 호응을 얻고 있다.
LG전자는 판매·서비스망도 강화하고 있다. 인도 전역에 브랜드샵 700여곳과 서비스센터 900여곳을 운영 중이다. 12개 언어 전화상담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김형수 기자 hskim@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