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참사 유가족 성났다

2025-05-08 13:00:15 게재

진실규명·책임자 처벌 감감

13일 사고책임자 고소 방침

179명의 생명을 앗아간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과 피해자들이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등이 지지부진하자 사고책임자를 고소하기로 했다. 특히 사고조사를 맡은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조사위원회(조사위)에 강한 불만을 표시하며 조사결과 공개를 요구했다.

유가족과 참사 법률지원단 등은 7일 입장문을 통해 “참사 발생 4개월이 지났지만 각종 의혹과 사고 원인을 밝혀내기까지는 여전히 갈 길이 멀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진상 규명을 위해선 수사기관의 적극적인 수사가 절실하다”면서 “오는 13일 사고 책임자들을 고소해 처벌받게 하겠다”고 밝혔다. 고소 대상에는 사고 여객기 운항 및 정비, 공항 시설관리 책임자와 참사 규명 기관 등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유족 등은 “최근 언론 보도를 통해 국토교통부 조사위 발표와 보고가 왜곡됐거나 조사가 미진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면서 “진실을 밝히려는 모습보다는 정보를 감추고 진실을 은폐하려는 것이 아닌지 의혹이 든다”고 지적했다.

이어 사고 관련 의혹으로 △조류 충돌 직후 복행 시도 이유 △복행 직후 기수를 180도 꺾어 긴급 착륙한 이유 △관제탑 대응 적정성 △엔진 유지 및 관리 적절성 △활주로 둔덕 설치 및 관리와 보강공사 규정 준수 여부 등을 제시했다.

또 “신속하고 철저한 진상규명을 위해서는 국토교통부가 조사위 독립성을 보장해야 한다”면서 “모든 조사과정과 자료를 투명하게 공개해 유족과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해 달라”고 촉구했다. 특히 유가족들은 해외 항공기 사고 조사과정에서 기장과 관제탑 교신 내용과 비행 데이터 등을 공개한 사례를 제시했다.

한편 사고 여객기는 지난해 12월 29일 오전 9시 3분쯤 무안국제공항 활주로에서 동체 착륙하려다 활주로 밖 방위각시설(로컬라이저) 콘크리트 구조물과 정면충돌해 폭발했고, 이 사고로 탑승자 181명 중 179명이 사망했다.

방국진 기자 kjbang@naeil.com

방국진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