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으로 이어진 ‘청양 지천댐' 논란
조기건설-백지화 공약 팽팽
추진 속도 놓고도 엇갈려
충남 청양 지천댐 건설을 둘러싼 논란이 대선국면으로 이어지고 있다. 찬반 양측의 주장이 여전히 팽팽한데다 추진속도를 놓고도 주장이 엇갈린다.
13일 충남도와 충남환경운동연합 등에 따르면 지천댐 건설을 놓고 찬반 양측이 정반대의 대선공약을 요구하고 나섰다.
충남도는 최근 각 당 대선후보에 충남지역 대선공약을 요청하며 ‘지천댐 조기 건설’을 포함시켰다. 충남도는 지천댐 건설이 향후 충남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으로 초기부터 강하게 밀어붙이고 있다. 충남도 관계자는 “2012년 이후 충남 유일의 보령댐은 사실상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고 있다”며 “충남뿐 아니라 청양지역 발전을 위해서라도 반드시 지천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반면 충남지역 환경단체 등은 ‘지천댐 백지화’를 대선공약으로 요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8일 충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기후대응댐이라는 허울을 쓴 지천댐 건설은 백지화해야 한다”며 “대규모 댐 건설이 아니라 지역별 수원 다원화 등 통합 물관리로 방향을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찬반여론이 팽팽한 청양군에서는 대선을 앞두고 기세 싸움이 한창이다.
지천댐 건설에 찬성하는 청양·부여 주민들은 지난 7일 청양 까치네유원지에서 집회를 열고 “물이 있어야 기업을 유치할 수 있고 인구 증가도 기대할 수 있다”며 댐 건설을 요구했다.
반면 댐 건설에 반대하는 주민들은 이날 청양 시내에서 건설 백지화를 요구하며 홍보전을 펼쳤다. 이날 경청투어 중 충남 청양을 찾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는 이들을 만나 반대의견을 들었다. 이들은 “댐 건설 지역이 발전한 사례가 없다”며 건설 추진 중단을 요구했다.
진행속도를 놓고도 주장이 엇갈리고 있다. 현재 환경부는 댐의 필요성 위치 규모 등을 따지는 기본구상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충남도는 공무원 지역주민 전문가 등 17명으로 구성된 지천댐 지역협의체를 운영하고 있다.
충남도는 김태흠 지사가 직접 나서 ‘신속한 행정절차’를 강조하고 있다.
반면 청양군에서는 대선 이후 새정부가 결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김기준 청양군의회 의장은 “지금 청양은 갈등으로 고통받고 있다”며 “현재의 과도정부보다는 책임있는 정부가 들어서서 새로 논의하고 결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와 충남도 등은 지난해부터 청양군 장평면과 부여군 은산면 일원에 저수용량 5900만㎥ 규모의 지천댐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윤여운 기자 yuyoon@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