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21개국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협력”
올해 장관회의 첫 공동성명 채택 … 한국 제안으로 ‘일자리포럼’ 정례화, “글로벌 리더십 발휘”
인공지능(AI) 확산, 디지털 전환, 저출생·고령화 등 산업·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노동시장 불확실성과 미래 일자리 불안이 가중되는 가운데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원국 경제체들이 지속가능한 노동시장과 일자리를 위한 협력을 약속했다.

12일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APEC 고용노동장관회의에서 21개 회원국 경제체들은 ‘지속가능한 노동시장과 일자리를 위한 협력’을 약속하는 내용의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정상회의와 연계된 올해 APEC 장관회의에서 나온 첫 공동성명이다.
김민석 APEC 고용노동장관회의 의장(고용부 차관, 장관 직무대행)은 이날 본회의 개회사에서 “노동시장 환경변화에 따른 일자리 감소와 양극 위기는 회원국의 개별 문제가 아닌 APEC 공통의 과제”라고 밝혔다.
공동성명에는 ‘유연하고 활력있는 노동시장’과 ‘미래일자리 대응과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에 대한 다양한 협력 방안이 담겼다.
우선 유연하고 활력있는 노동시장을 위해서는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도록 유연한 근로환경을 촉진하고 임금·근로시간 및 기타 고용조건의 개선 및 관련 모범사례를 발굴·공유하기로 했다.
△노동시장 양극화와 구조적 불균형·차별 해소 및 공정한 고용관행 촉진 △모든 근로자를 위한 체계적이고 지속가능한 사회안전망 제공 촉진 신기술을 활용해 산업안전보건 기준 개선 및 직장 내 폭력 및 괴롭힘 개선 △기술격차 완화를 위한 회원국 간 지식 및 모범사례 공유 촉진 등도 약속했다.
미래 일자리 대응을 위해서는 맞춤형 훈련 및 평생학습 확대 등 직업교육·훈련 시스템을 개선하고 양질의 완전한 고용 증진을 위한 기술 기반의 고용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회원국 간 직업훈련 모범사례 공유와 협력 촉진 △대외환경 변화에 대응을 위한 직업능력개발 촉진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과 지속적 고용 촉진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와 일·생활 균형 지원 강화 △중장년층의 맞춤형 재교육과 유연근무제도 활성화 △장애인의 직업능력개발 및 양질의 고용 기회 확대 등도 합의했다.
APEC 공동성명은 구속력은 없지만 경제체들의 정책 의지와 방향을 확인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회원국 경제체들은 의장국인 한국의 ‘APEC 지속가능한 일자리 포럼’(가칭)의 정례적 개최 제안에 동의했다. 포럼은 내년 서울에서 처음 열린다.
이어진 기자회견에서 김 의장은 “우리는 HRD WG(인적자원개발 워킹그룹)와 관련 네트워크 성과를 높이 평가하며 디트로이트 비구속적 원칙, 아레키파 목표, 리마 로드맵, 라세레나 로드맵, 푸트라자야 비전 2040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한다”며 “이번 성명을 지지하고 실천을 이행하기 위한 후속 포럼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에두아르도 페드로사 APEC 사무국장은 한국 개최 의미에 대해 “한국은 기술생산의 최전방에 서 있는 동시에 고령화 도전과제에 직면해 있다”면서 “한국에서 회의가 열려 한국의 기술을 보고 배울 수 있는 기회”라고 말했다.
공동성명 채택에 앞서 이뤄진 29개 주제 발표에서 김태기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한국의 노동 위상, 글로벌 무대에 바로 세우다’와 이정한 고용부 고용정책실장이 ‘미래 일자리를 위한 한국의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을 주제로 발표했다.
이번 회의 실무를 준비한 박지혜 고용부 국제개발협력팀장은 “디지털과 인구구조 변화는 향후 몇년간 가장 중요한 테마일 것”이라며 “이에 대한 의제와 방향성 설정을 한국에서 시작했다는 것이 매우 의미 깊으며 이는 우리의 글로벌 리더십 위상을 높이는 계기”라고 설명했다.
박 팀장은 “특히 21개 경제체가 모두 동의한 미래를 위한 노동시장과 일자리에 대한 공동성명은 APEC 지역 내 정책의 방향(목표)과 가이드가 될 것”이라며 “우리가 제안하여 시작될 내년 포럼을 통해 APEC 경제체간 활발한 협력과 실질적인 실천도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한남진 기자 njhan@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