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 이후 5.18 가치 재조명
국민 47% 더 긍정 평가
신군부 비자금환수 찬성
5.18재단 인식조사 발표
우리나라 국민들은 12.3비상계엄 극복 과정을 통해 1980년 계엄군에 맞서 싸운 5.18민주화운동 가치를 새롭게 재조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국민 10명 중 7명 이상이 전두환 노태우 등 신군부 세력이 부정 축재한 비자금 환수에 찬성했다. 이 같은 결과는 5.18기념재단이 최근 실시한 국민인식조사에서 확인됐다.
14일 5.18기념재단이 발표한 5.18인식조사에 따르면 국민들은 ‘비상계엄 이후 5.18에 대한 인식 변화’를 묻는 질문에 47.3%(매우 긍정 27.3%)가 더 긍정적으로 바뀌었다고 응답했다. 특히 40대(60.6%)와 50대(58.7%)의 긍정 평가가 두드러졌고, 광주·전남(63.0%)과 서울(50.1%) 등이 높았다. 또 5.18에 대한 이미지와 관련해 ‘대한민국 대표적인 민주주의 역사(79.2%)’와 ‘국가의 부당한 폭력에 대한 정의로운 저항(78.9%)’으로 평가했다.
새로운 정부가 5.18과 관련해 시급히 추진해야 할 과제로 진실규명(32.8%)이 가장 높았고, 5.18 왜곡과 폄훼 방지(20.0%), 5.18정신 헌법 전문 반영(19.8%) 등이 뒤를 이었다. 이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5.18진상조사위원회가 구성돼 진실규명 활동을 벌였지만 아직도 해결 과제가 많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국민들은 전두환 노태우 등 신군부 세력이 부정 축재한 비자금 환수에 대해 73.0%(매우 필요 56.5%)가 찬성했다. 지역별로는 광주·전남 찬성 비율(88.8%)이 가장 높은 반면 대구·경북이 62.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에 대해선 67.4%(매우 필요 47.4%)가 찬성했다. 광주시는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을 위해 내년 지방선거와 함께 개헌을 주장하고 있다. 5.18기념재단은 해마다 국민인식조사를 통해 재단에서 추진할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에 의뢰해 지난달 25일부터 28일까지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고재대 5.18기념재단 사무처장은 “이번 조사에 통해 새로운 정부가 추진할 과제 등이 도출됐다”면서 “광주시 등과 협의해 관련법 개정 활동 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방국진 기자 kjbang@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