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아파트 입주전망지수 7.6p↑
서울 110 넘어
세종 ‘전국 최고’
대출금리 하락과 수도권 및 지방 대도시 집값 상승 기대감으로 5월 아파트 입주전망지수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5월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가 95.1로 전월(87.5)대비 7.6포인트 상승했다고 13일 밝혔다.
입주전망지수는 아파트를 분양받은 사람이 정상적으로 잔금을 내고 입주할 수 있을지 예상하는 지표다. 100 이하면 입주 경기에 대한 부정적 전망이, 100 이상이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전체 지수가 전월보다 12.6포인트 오른 99.0을 기록했다.
특히 서울은 87.8에서 110.2로 전월대비 22.4포인트 올랐다. 서울의 입주전망지수가 110을 넘어선 것은 지난해 10월 이후 7개월 만이다. 인천은 85.7에서 89.6으로 3.9포인트, 경기는 85.7에서 97.2로 11.5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5대 광역시는 대전(100.0→100.0)과 울산(107.6→100.0)을 제외하고 광주(80.0→92.8) 대구(72.2→81.8) 부산(85.0→90.0)이 상승했다.
도 지역은 전체 지수가 7.0포인트 오른 91.5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세종이 108.3에서 123.0으로 올라 전국 최고를 기록했다. 세종은 3월 78.5까지 하락했지만, 대선을 앞두고 국회의사당과 대통령 집무실 이전 공약 등에 따른 정치적 기대감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충북은 75.0에서 100.0, 충남은 83.3에서 100.0으로 상승폭이 컸고, 경북이 유일하게 7.0포인트 하락했다.
주산연 관계자는 “대출금리가 하락하고 수도권 중심 지역과 울산, 세종 등 지방 대도시 집값 상승세가 확산하면서, 시장 회복 기대심리를 자극했다”며 “7월 예정된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시행 전 규제 회피성 수요가 맞물리며 입주 수요가 집중되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한편 4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73.7%로 전월대비 13.9%p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 입주율은 2월 80.2%, 3월 81.5%, 4월 83.5%로 3개월 연속 80%대를 유지했다. 비수도권은 같은 기간 55.1%에서 71.6%로 오르면서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입주율 격차는 14.5%p(26%p→11.9%p)로 좁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