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관세로 올해 수출 4.9% 감소”
한경협 수출기업 조사
“불확실성 증가로 어려움”
국내 수출기업들은 미국 관세정책으로 인해 올해 수출이 4.9%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또 미국 관세정책에 따른 경영 어려움으로는 잦은 변경에 따른 불확실성 증가를 꼽았다.
한국경제인협회는 매출액 1000대 기업 가운데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미국 트럼프 정부 관세정책의 영향 및 대응과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26일 밝혔다.
업종별 감소율은 전기•전자(8.3%↓) 자동차•부품(7.9%↓) 석유화학•석유제품(7.2%↓) 일반기계(6.4%↓) 반도체(3.6%↓) 철강(2.8%↓)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선박과 의료•바이오헬스는 미국 관세정책에도 불구하고 수출액이 각각 10.0%, 1.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의 관세정책 지속 시 국내 수출 기업들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6.6%, 6.3% 줄어들 것으로 관측됐다.
응답 기업 81.3%는 ‘미국의 관세정책이 양국 기업 모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했고, 14.7%는 ‘한국기업에 부정적이고 미국기업엔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미국의 관세정책에 따른 경영 애로로는 ‘잦은 정책 변경에 따른 불확실성 증가’(24.9%) ‘글로벌 경기 악화’(24.0%) ‘미국 수출 감소’(18.8%) ‘환율변동 리스크 증가’(17.5%) ‘중국 덤핑 수출에 따른 피해’(10.5%) 등이 꼽혔다.
실무적인 어려움으로는 미국 수입업체와 단가 조정 협상(53.4%)이 과반을 차지했고 미국 통관절차 정보(21.3%) 원산지 판정기준 정보(13.3%)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정부의 대응 방안으로 협상을 통한 관세율 최소화(44.6%) 수출시장 다변화 지원(13.6%) 면세품목 최대화(13.1%) 경쟁국과 동일한 관세율 적용(9.4%) 등을 제시했다.
고성수 기자 ssgo@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