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형 ‘4.5일제’ 시범사업
68개 기업과 업무협약 체결
“국민의 일주일 바꾸고 싶다”
경기도가 전국 최초로 ‘주 4.5일제’ 시범사업을 시작한다.
김동연 경기지사는 19일 오전 수원 라마다프라자호텔에서 주 4.5일제 시범사업에 참여한 68개 기업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주 4.5일제 시범사업은 경기지역 민간기업 67곳과 경기도 산하 공공기관인 경기콘텐츠진흥원 등 68곳을 대상으로 임금 축소 없는 노동시간 단축제도를 적용하는 것이 핵심이다.
기업 상황에 따라 주 4.5일제(요일 자율선택), 주 35시간, 격주 주 4일제 등 다양한 유형으로 운영된다.
이날 협약에 따라 참여 기업 및 기관의 사용자와 노동자는 시범사업에 협력하고 경기도와 경기도일자리재단은 사업 추진에 필요한 사항을 지원한다.
참여 기업에는 노동자 1인당 월 최대 26만원의 임금 보전 장려금과 기업당 최대 2000만원의 맞춤 컨설팅 및 근태관리시스템 구축을 지원한다.
시범사업은 올해부터 2027년까지 한시적으로 추진하고 노동생산성, 직무만족도 등 44개 세부지표를 통해 성과를 분석한다.
도는 분석 결과를 통해 적정 노동시간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고 전국 확대가 필요한 경우 제도 개선을 정부에 건의할 방침이다.
시범사업에 참여한 기업은 IT기업, 제조업, 언론사까지 다양한 조건과 특성을 갖고 있다.
협약식 후 ‘주 4.5일제, 일의 미래를 열다’라는 주제로 김동연 경기지사가 주재하는 타운홀 미팅도 이어졌다. 이 자리에서 IT업체인 ‘둡’의 최원석 대표는 “올해부터 주 35시간을 운행 중인데 처음엔 걱정이 많았지만 근무시간이 줄어도 생산성이나 개발속도에 전혀 차이가 없고 구성원들의 만족도도 높다”면서 “경기도 4.5일제 사업을 통해 30시간까지 업무시간을 줄여보려고 한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4.5일제를 시행하면 일주일의 삶이 바뀔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 전국 최초로 시범사업을 하게 됐다”며 “생산성과 삶의 질을 조화롭게 하는 두가지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김 지사 이어 “주 4.5일제 도입으로 국민의 일주일 생활을 바꿔보고 싶다”며 “새 정부와 제도 정착을 위해 협의하면서 전국적으로 확산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