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팬데믹 대비…국가보건 역량 WHO와 점검
올해 8월 범부처 합동
질병관리청은 신종감염병과 같은 미래 보건위기에 대비해 범부처 대응 역량을 점검하고자, 올 8월 세계보건기구(WHO)가 주관하는 합동외부평가를 시행한다. WHO 국제보건규칙 합동외부평가는 회원국의 공중보건위기에 대한 대비·대응 역량을 평가하고 개선안을 도출해 국가행동계획에 반영토록 권고하는 평가방법이다.
24일 국무총리 주재 제62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논의된 ‘글로벌 보건위기 대비 범부처 역량 평가 계획’에 따라, 질병관리청을 중심으로 관계부처가 합동외부평가에 대비한 본격적인 수검 준비에 나섰다.
WHO는 합동외부평가를 2016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감염병 위기대응 체계 △인수공통감염병 △항생제 내성 △식품안전 △화학방사능 사고 등 보건 관련 전 영역에 대해 5년 주기 평가를 권고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메르스 이후 시행된 국가방역체계 개편을 바탕으로 2017년에 처음으로 합동외부평가를 받았다. 예방접종, 실험실 진단체계 등 대부분 영역에서 우수한 결과를 받은 바 있다. 평가 이후, WHO 권고에 따라 원헬스 접근을 강화하기 위한 범부처 실무협의체를 구성하고 항생제 내성 포털시스템을 운영하는 등 공중보건 위기 대비·대응 기반을 마련했다.
올해 8월 말 진행될 2차 합동외부평가는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변화된 대한민국의 공중보건 위기 대비·대응 역량에 대한 평가다. 선진국 중에는 미국(2024년 9월)에 이어 우리나라가 두 번째로 2차 평가를 받게 된다. WHO에 따르면 1차 평가 대비 재정, 공중보건위기 관리, 의료서비스 제공, 감염예방관리 영역을 보다 강조했고 코로나19를 거치면서 전 세계적으로 건강 불평등이 심화된 점을 고려해 형평성 제고 측면에 관한 질문이 추가됐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코로나19 이후 강화된 공중보건 위기대응 역량을 확인하고 감염병을 포함한 보건분야 전반의 취약한 부분을 점검하는 기회를 갖는 것은 미래 보건위기에 대비해 반드시 필요하다”며 “8년 만에 시행되는 WHO 합동외부평가를 통해 보건안보 분야의 우리나라 위상을 높일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